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김성우.엄기호 지음 / 따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려운데 일단 이 책의 내용은 유튜브와 별로 상관이 없다. 영상매체가 기존의 문자매체와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논하는 파트가 부분부분 보이긴 하지만 그것이 논제의 메인을 형성하진 않는다. 그냥 다른 주제에 대해 논하기 위해 잠깐 지나가는 징검다리 수준의 논의이다. 나아가 이 책의 주제는 문해'력'이라고도 보기 어렵다. 오히려 저자들은 문해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는 듯 하다.

저자들이 이 책에서 논하는 주제는 문해라는 개념의 정체성에 대한 것에 가깝다. 문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되고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삶의 리터러시라는 개념으로 표현해낸다. 상당히 철학적인 담론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일단 제목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의문스러운 내용이 담겨 있다는 것도 책의 가치를 깎는 요소이지만 내용도 그리 접근성이 좋지 못하다. 이런 류의 책을 읽다보면 대중교양서와 학술서의 경계를 미묘하게 왔다갔다 하는데 그 중간에서 균형을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 이 책 역시 대중교양서라 하기에는 기반지식이 필요한 학술용어나 인용이 너무 많고, 학술서라 하기에는 개념의 정의나 논증의 정밀성이 부족하다는 느낌이다. 자료의 출전도 개인의 경험에 의한 것이 많아서 설득력을 떨어뜨린다. 결과적으로 양쪽 모두에게 불친절한 책인지라 어느 쪽도 만족시키기 어려운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대담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 점에도 아쉬운 점을 발견하게 된다. 일단 저자들의 합이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고수들의 현란한 초식이 부딪히는 비무를 보는 것 같지도 않고, 두 사람의 춤사위가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연무를 보는 느낌도 없다. 오히려 논의의 흐름이 자꾸 끊어져서 갑자기 이 사람이 이 얘기를 왜 하나 이런 생각을 들때가 많았다. 한참을 앞장을 다시 읽어봐도 도무지 맥락을 이해할수 없다면 그 책임이 독자에게만 있진 않을 듯 싶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주체성, 문화권력, 타자성 등에 대해 주로 논하곤 하는데 그런 저자들도 자신들의 경험, 지식, 세계관으로 인식되는 타자들을 특정 가치관으로 재단, 판단, 환원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저자들은 끊임없이 이러한 사고를 비판하고 이를 지양해야하는 당위성을 설파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들 본인도 그러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저자들은 그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해주지 않는다.

그래도 전반적인 내용 자체는 한번 읽어볼만한 내용이긴 하다. 특히 오늘날같이 지식을 축적하기 쉬워짐에 따라 지식의 권력과 학문적 권위가 해체되고 있는 시대에는 한번쯤 생각해볼 내용들이 많다. 사람들간의 관계와 관계에 있어 서로가 서로에 대해 올바른 이해에 도달해야하고, 이는 서로가 서로에 대한 다름과 무지를 인정함으로 시작되며, 이것이 문자가 인류에게 주는 가치라는 점에 동의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의 내용은 틀림없이 유익한 내용이다.

디지털 혁명을 지나 제 4차산업혁명기로 진입하는 요즈음 사람들의 문자해독능력은 큰 전환을 맞고 있다. 일찍이 다치바나 다카시는 문자매체는 영상매체로 대체되리라 예상한 바 있는데 그 논거는 효율성이었다. 다카시가 언급한 영상매체는 dvd로 된 다큐멘터리였는데 그거 하나 보는 것이 책 몇권 읽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시대는 DVD를 넘어 실시간 스트리밍의 시대로 진입했고, 그에 따라 다카시도 예상치 못했던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에 응답하는 담론의 형성은 기술발전의 속도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는 듯 하다.

그것이 이 책에 기대를 하게 된 연유인데 내용은 다소 기대에 반하는 내용이었다. 새벽에 쓸데없이 비판적인 리뷰를 길게 남기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아쉬움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