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 웨이스트가 뭐예요? ㅣ 미래를 여는 키워드 6
장성익 지음, 이진아 그림 / 풀빛 / 2025년 1월
평점 :
풀빛 도서출판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오늘은 아이들과 함께 읽은 책 '제로웨이스트가 뭐예요?'에 대한 소감을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이 책은 풀빛 출판사에서 나온 환경 교육 도서로, 초등학생들에게 환경 문제와 제로웨이스트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첵 표지
'비우고', '헹구고', '분리하고!' 섞지 않기!'하는 그림으로
우리가 분리수거를 제대로 된 방법으로 하고 있는가를 생각하게 하는 책
요즘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잖아요. 아이들에게도 이런 의식을 심어주고 싶어서 함께 읽게 되었습니다. 특히 10살 아들이 앞으로 살아갈 세상은 환경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세상이니깐요.

<제로웨이스트가 뭐예요?> 책은 아이들이 궁금해할 만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제로웨이스트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주고 있습니다. 일상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과 쓰레기 문제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면서, 어떻게 하면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지 다양한 실천 방법도 제시하고 있어요.
1장 '소비 왕국'에서 벌어지는 일
우리 아들도 한때 너무 사고 싶어했던 '포켓몬 빵'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포켓몬 스티커를 모으기 위해서, 빵은 그냥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는 문장을 읽고는, "나는 안 그랬어."라고 말하는 아들이 '소비 사회'가 무엇인지는 관심있게 읽게 만드네요.

3장 제로 웨이스트가 뭐예요?
이렇게 우리가 만들어낸 쓰레기들이 어떤 문제를 일으키고,
쓰레기 문제로 불평등 문제까지 생긴다는 걸 알게 됩니다. 쓰레기 문제는 우리의 미래, 국제 문제까지 얽혀있기에 지금 당장 우리 모두 애를 써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매일 입는 옷은 실생활에서 필수품이지만, 한편으로는 사치품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예전에 의류 창고에서 보관만 되다가 버려지는 의류들의 이야기를 들은 후로, 소비자의 의식이 바뀌고 그런 의식들이 대중화되면 산업 구조도 바뀌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했었는데요. 만드는 과정에서도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세계 경제 포럼(WEF) 등의 계산에 따르면 면 청바지 한 벌 만드는 데 약 7,500리터의 물이 필요해. 이는 한 사람이 13년이나 마실 수 있는 양이야.
의류 사업은 기후 위기의 주범인 석유 산업에 이어 둘번째로 환경 오염을 많이 일으키는 '환경 악당'으로 꼽히고 있어.

중간 중간 아이들이 글을 이해하기 쉽도록 글이 이해하기 좋게 귀여운 그림들이 삽입되어 있는데요. 중간에는 우리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도록, 선 긋기 문제가 준비되어 있기도 합니다.
특히, 재활용과 재사용의 차이점,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 등을 그림과 함께 재미있게 풀어내어 초등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이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들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겠구나"라고 말할 때 정말 뿌듯했어요.
: Reduce (줄이기) Reuse (재사용하기) Recycle (재활용하기)
여기에 Refuse(거절하기) , ROT(썩히기) 가 추가되어 이라는 말을 쓴다고 해요.
이 중에
물건을 살 때 주는 비닐봉지, 불필요한 사음품 거절하는 '거절하기' 과정과
이미 사용한 물건을 본래 형태 그대로 다시 사용하는 '재사용'을 개인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책 표지에도 있던 거지만,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 때에
분리배출하기 전에 제대로 분리해서 버리는 것부터 하는 것이 우리 모두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재활용 쓰레기 가운데 적게는 30~70%가 재활용되지 않고 선별장에서 그냥 버려지는 게 현실이야.-P.77
분리배출한 제품을 우리가 재활용하기 위해서 우리가 따로 버리는 것이지,
우리가 배출하는 쓰레기 양을 줄이기 위해서 버리는 것이 아니니깐요. 당장 쓰레기 봉투 가격을 줄이기 위해서 비양심적으로 버리거나 제대로 버리지 않는다면, 재활용 사업이 없어지거나 쓰레기 봉투 가격이 오르거나 다른 대형폐기물처럼 비용을 내고 재활용 제품도 버려야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요?
최근 들어 세계 여기저기서 수리권을 보장하는 법과 제도가 새롭이 만들어지고 있대요.
수리권과 관련해 가장 돋보이는 움직임을 보이는 나라는 프랑스야. 2021년부터 유럽에서 처음으로 핸드폰, 노트북, 텔레비전 등 5개 제품에 '수리 가능성 지수'를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한 것이 특히 관심을 끌었어. 즉, 이들 제품을 얼마나 쉽게 수리할 수 있는지 따져서 점수를 매기고 그것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했다는 거지.-P.106
환경과생명연구소 소장 '장성익' 작가가 쓴 글로,
우리나라에서 나온 책이라 우리나라 현실을 조금 더 풀어놓았고, 초등학생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이라 좋았습니다.
단순히 환경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 주는 점이 정말 좋았습니다. 또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쉬운 설명과 예쁜 그림 덕분에 아이들이 재미있게 책을 읽을 수 있었어요.
우리 집에서는 투명 플라스틱병과 캔을 따로 모아서 동네에 있는 기계에 따로 배출하고 있는데요. 캔을 폐기물수거장에서도 받아주지만, 플라스틱병은 그냥 재활용으로 내놨을 때에 제대로 재활용되는지 확신할 수 없어서 기계 배출하려고 노력하는데요. 이런 시설이 많이 부족하더라고요. 더 많이 만들어달라는 희망은 있지만, 경제적인 문제와 인력 문제때문이라는 것은 알고 있기에, 강력하게 항의하기도 힘든 상황인데요. 우리들이 플라스틱 제품을 줄여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이런 환경 관련 도서를 함께 읽으며 가족 모두가 환경 보호에 앞장서는 생활을 만들어 가고 싶어요. <제로웨이스트가 뭐예요?>는 환경 교육 도서로 정말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부모님이라면 꼭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