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ㅣ 똑똑한 책꽂이 38
최지혜 지음, 신소담 그림 / 키다리 / 2024년 6월
평점 :
조선 왕실의 귀한 자료를 품은 외규장각이 들려주는
외규장각 이야기
역사를 공부했던 어른도
책 한 권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어린이책 소개합니다.
키다리 도서출판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섬세한 그림의 외규장각 그림으로
표지를 채운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
속표지에는
현무, 백호, 주작, 청룡의 그림이 보입니다.
고구려 고분 벽화를 비롯하여 여러 유적지 자료로 봤던 사신도를 보고,
초3 아들은 "이게 뭐야?"라고 물어보더라고요.
나중에야 초등 아들은 익숙해질 그림이지만,
아직 한국사를 배우지 않은 아이는 사신도가 무엇인지 모르더라고요.
한국사 관련 전집도 한번 훑어본 적도 있지만,
아직 겉핥기식으로 가볍게 읽은 거라 한국사, 한국문화는 과학 분야보다도 더 익숙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런 아이에게 시대사로 된 한국사 책보다
이렇게 한 건물 입장에서 풀어낸 이야기는 새롭게 다가올 것 같아요.
우리가 위인전을 세계문화나 한국사, 세계사 책보다 먼저 접하게 하는 이유는
한 인물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읽으면
이야기가 더 쉽고 집중하면서 읽을 수 있기 때문일텐데요.
"먹 향을 머금은 책을 좋아하는 나는 조선 시대 때 만들어진 도서관이야.
조선 시대 도서관이 들려주는 이야기, 들어 볼래?"
외규장각이 들려주는 이야기로
조선시대와 그 이후에
왕립도서관 '규장각'에 보관된 왕실자료들이 왜 보관되고 있고,
강화도에 있는 '외규장각'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있었던 왕실 자료들은
왜 우리나라에 있지 않고,
어떻게 프랑스에서 발견되었는지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조선 후기 외세 침략과
그 이후의 이야기를 알 수 있습니다.
박병선이라는 분과 그 은사 이병도 선생님의 노력으로
이 자료들이 우리나라에 돌아오는 과정을 들으면서
우리나라를 위해 애쓴 이들의 이야기에 또 한번 감탄을 하게 됩니다.

한국사 교과서, 청계천 등에 그려진
어람용 의궤 그림들이
우리에게 남지 않았을 수 있있다니!
그런 자료들의 소중함을
아이들이 알기는 어렵겠지만...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어서 이런 문화유산들이 우리나라에서 보존될 수 있음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아요.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 책을 읽고
지금 어람용 의궤가 보관되어 있는 곳을 찾아보면, 익숙한 그림에 더 자세하게 다가가
그 설명을 읽어보지 않을까요?
"프랑스에서 돌아온 어람용 의궤는 지금 어디에 있냐고?"
< 키다리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 책의 마지막 부분을 읽으면서,
아이들이 알아낼 거예요.
그리고 그 자료들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금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말이죠.
한국문화를 이해하게 도와주는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 초등 저학년 아이들에게 추천합니다.
"이 서평을 해당 도서출판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