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 어린이 지식 시리즈 1
돤장취이 스튜디오 지음, 김영미 옮김 / 서울문화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부터 남다른 역사책,

선사시대 생활을 다룬 책

원시인의 하루 꼬르륵 배가 고파!

SE-98485dda-246b-49b3-b5bc-c1eb4d225bc1.jpg

인류진화 역사를 배우는 어린이 지식 시리즈 제1탄

원시인들은 어떻게 음식을 구하고, 어떻게 요리해서 먹었을까요?

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를 통해 선사 시대 생활을 체험해 보세요.

인류진화 역사를 배우는 어린이 지식 시리즈,

선사 시대 생활을 이렇게까지 자세하게 본다고?


우리나라 역사책은 선사 시대는 삼국시대~ 조선시대를 배우기 전에

살짝 배우는 구석기, 신석기 특징을 배우고 넘어가는 단원처럼 나오는데,

< 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 > 는 그림과 글로 재미있게~ 상세하게~ 담았습니다.



< 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 > 차례

물은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해!

어려운 채집 생활

사냥은 정말 위험해!

낚시도 도움이 된다!

음식은 조리해야 더 맛있다고?

농사로 얻을 수 있는 게 정말 많아!

목축은 생활 수준을 높여 줘!




차례만 봐도,

음식을 얻는 방법, 사는 장소 등 하나하나 여러 주제로 원시인의 생활을 살펴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첫 장은 고대 원시인들은 매일 생존 문제를 해결해야 했기에

원시인들이 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잘 담겨 있습니다.

물은 강가에서 살면서 물을 먹어야만 얻을 수 있다는 선입견을 깨고,

열매, 수분의 많은 식물의 잎 등을 통해서도 수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마치 넓은 초원이나 숲에 사는 초식동물들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네요.

그리고 그 뒤에는

사람들이 실제로 물을 마실 수 있는 곳을 찾는 팁이 있습니다.

동물들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방법은 바로 이해가 되는데,

나비를 따라간다고?!


나비와 같은 곤충들은 물 근처에서 활동하기 때무넹 나비를 쫓아가도 쉽게 물을 찾을 수 있대요.

재미있는 그림으로 채워지고

귀여운 원시인들로 채워져 유치, 초등 저학년부터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그림책 같지만

'원시인 대백과', '아래 생존 방법' 코너 등을 통해

역사, 과학 지식 등을 알 수 있는 #초등책 입니다.

SE-e82f2b1c-49b0-4047-a1d0-601b882066a9.jpg


< 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 >의 책장을 넘기면서 특이한 점을 발견했는데요.

'해가 나무에 걸렸다!, 해가 가장 높은 곳에 있어! 해가 쨍쨍해! , 비가 올 것 같아!' 등

날씨와 시간을 유추할 수 있는 특징으로

원시인들의 채집생활, 원시인들의 사냥하는 방법 등을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냥한 동물은 어떻게 사용되는지도 나오는데요.

"우선 사냥해 온 동물의 가족을 벗기고 뼈를 제거합니다.

털가죽과 뼈는 남겨서 다른 용도로 사용했지요. " 라고 글로 나오는데요.

'지식 쏙쏙'에서 동물의 털가죽과 뼈가 옷과 도구의 재료로 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그려놓아

더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SE-82ccdd52-cbde-4cb2-b596-01490bb8c13e.jpg



<원시인의 하루>라는 제목처럼

시간대별로, 날씨에 따라 그들의 생활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면서

원시인들의 하루를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채집과 사냥을 해서 먹을 것을 구하던 원시인들이

농사를 하고 목축을 하면서 원시인들의 생활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려주는 내용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권말부록처럼

< 원시인의 하루 : 꼬르륵 배가 고파! > 뒤에는

인류를 바꾼 음식 / 야생에서 물을 모으는 방법 / 음식의 발전 과정 /

농업과 목축업의 발전 / 원시인의 시간 측정법

에 대해서 나옵니다.


SE-1c988425-014a-4df2-bb8b-6259ac029e74.jpg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류의 뇌 용량이 점점 커지게 되었는데,

뇌의 용량이 커지는데 음식의 변화도 큰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가장 최초의 인류는 '채식주의자'였다고 해요.


그러나 지구의 기후 변하로 식량이 부족해지자 인류는 생존을 위해 고기를 먹기 시장했습니다.

고기를 구하고 먹는 과정에서 대뇌를 사용하면서 인류의 뇌 용량이 커지고 지능도 높아진 거죠.

채집과 사냥하는 모습을 보면,

원시인들이 처음에는 왜 채집을 하면서 채식주의자로 살았고,

사냥을 하면서 뇌를 더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었는지는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초등학생들은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