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 복합적인 세상에 필요한 유연한 멘탈모델
레나르트 위트베이 지음, 김지연 옮김 / 예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표지 위에 있는 

"복합적인 세상에 필요한 유연한 멘탈모델"이라는 문구를 보고 선택하게 된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12.jpg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_ 책 정보

저자 레나르트 위트베이 

옮김 김지연

출판 예미 

출간 2021년 11월 22일




<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 책 

'전략적 사고란 무엇인가?' 챕터에서는 

뇌는 때로는 우리를 이상한 사람으로 만든다, 지식의 저주라는 표현을 합니다.




지식의 저주는 조직 내에서 경영진들이 조직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 왜 어려움을 겪는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때로 경영진들은 비전, 미션, 가치 또는 슬로건을 만들어 내고 조직의 목교와 야망, 그리고 정신을 제시한다. 대개 짧고 함축적인 구호의 형태로 나온다. ~ 대부분의 경우, 조직 구성원들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지식의 저주에 맞서기 위해서는 먼저 그런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해해야 한다. _ p. 62


'지식이라 함은 많이 쌓아두고, 꺼내서 활용하면 좋을 것 아닐까?' 라고 착각하며 우리는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책에서는 

티코 브라해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생각을 고수했고, 행성들이 원 궤도를 따라 돌고 있다는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던 모습처럼

자신이 생각한 이상적인 이미지에 세계를 끼워 맞추려는 것을 주의하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사고하는 것을 경계하고, 역동적 사고를 하라고 합니다. 



13.jpg



인과관계는 단순하게 이어지지 않고, 

모든 것은 그대로가 아니니 변화가 계속 일어난다고 가정하면서 이 세계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죠. _p. 77


그런데 세상을 이해하고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멘탈모델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우리 스스로 주변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냐를 알고 있고 ,

그 인식을 통해 얻어지는 새로운 통찰력을 토대로 꾸준히 갱신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멘탈모델을 계속 갱신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고

기존의 멘탈모델을 폐기할 각오도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14.jpg


하지만 자신이 갖고 있는 멘탈모델을 폐기할 각오까지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어있을까요?


비판적인 사고가 항상 중요한다고 하지만, 

자신에게 비판적인 사고를 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모두가 자기 의견을 말할 권리는 있지만, 자신만의 사실을 고집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라는 말을 기억하고 

자신에게도 적용하며 살아야할 것 같네요. 


계속 변화하는 문화와 가치들 사이에서 

나 혼자만 변화하지 않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면서 읽게 되는 


<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 


세상은 복잡한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라고 말하는 이 책을 보며

복합적인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사고하여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상황의 변화에 따른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마음을 더 열면서 생각하도록 자주 상기하면서 살아야겟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을 덮었습니다. 





"이 책은 해당 도서출판의 책을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