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좀 더 진화한 공룡 도감 ㅣ 너무 진화한 도감
고바야시 요시쓰구 지음, 고나현 옮김 / 사람in / 2020년 6월
평점 :
공룡 좋아하는 유치부 아이
공룡장난감은 있어도 또 갖고 싶고,
공룡책은 언제 봐도 신기하고 재미있어 하는 유아를 위해 준비한 공룡 도감
좀 더 진화한 공룡 도감

공룡 소개를 하는 여느 공룡 도감과 비슷한 듯 하지만,
"이렇게 진화한 이유가 있다."라는 점에 좀더 포커스가 맞춰진 자연과학 책입니다.
그리고
조반류, 용반류 등 공룡을 분류하여 공룡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공룡 박물관에서 들어가면 공룡 소개에 거의 항상 등장하는 공룡 분류표에 보이는 조각류, 용각류
하지만 박물관에 보면, 공룡 모형과 공룡 화석들을 살펴보느라
그 설명은 자세하게 살펴보지 못해
' 조반류와 용반류는 항상 뭐가 다르다는 건가?'라는 궁금증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채 지나가게 되더라고요.
<좀 더 진화한 공룡 도감 >에서는
조반류와 용반류가 어떻게 다른지 그림을 통해 알려줍니다.

공룡 조반류, 용반류로 나뉘고
그 안에서도 조류, 수각류, 용각류로 나뉩니다.
그런데 왜 조반류라고 하는거죠?
새의 선조는 아니지만 새와 골반이 비슷해서 조반류라고 이름이 붙였다고 하네요.
< 좀 더 진화한 공룡 도감 > 공룡책에서는
공룡의 그림을 크게 그려놓아서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아들때문에 공룡에 대해서 알기 전에는
트리케라톱스 종류가 있을 뿐이었는데, 그 뿔의 개수와 모양에 따라 이름이 다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너무 많은 공룡들에 댛서 자세히 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 대결 형식으로 나온 공룡책들은 공룡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알기가 쉽지 않았는데,
공룡 특징들을 집어주고

종류, 생존시대, 전체길이, 살던 곳, 먹이, 이름의 뜻도
간략하게 정보식으로 알려주고 있을 뿐아니라
그 공룡들의 특징에 대해
설명으로도 풀어놓아서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용량류는 다 목이 매우 긴 줄 알았는데,
목이 짧아 슬픈 용락류도 있었네요.
19개의 목뼈를 가진 용각류의 반도 안 되는 8개의 목뼈를 가진 브라키트라켈로판이라는 용각류 공룡도 있었네요.
하지만 목이 짧았던 이유가 있었습니다.
쥐라기 후기의 남아메리카는 초식성인 조각류가 적어서 작은 식물을 먹을 공룡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래요.

< 좀 더 진화한 공룡 도감 > 은
키카 제일 큰 공룡, 목이 짧은 공룡, 날개가 없는 조류로 그 공룡을 소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래도 괜찮았는지, 왜 그래야만 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주어서
좀더 깊이 있게 공룡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공룡 그림과 이름을 단순히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공룡 진화 과정을 살펴보면서 공룡에 대한 깊이있는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어떤 사물을 살펴볼 때에 "왜?" 라는 질문을 통해 의구심을 갖고 살펴볼 수 있는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