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진로 진학 - 초등학교부터 대학입시까지 진로 진학 미래교육 전략서
차현정 지음 / 라온북 / 2020년 3월
평점 :
초등학생부터 대학입시까지 진로 진한 미래교육 전략서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진로진학

왜 강남 엄마들은 학습 코디네이터를 고용할까?
막막한 우리 아이 진로 진학 고민, 재능 포트폴리오로 해결하다!
학령별 학교 선정, 전공 선택, 생기부 관리 등 구체적인 신개념 가이드라인 제시
경쟁력 평가 체크리스트
계열 성향 체크리스트
학년별 대입 포트폴리오

우리 아이는 아직 초등학교도 안 간 6살 유아지만,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벌써 주변 아이들은 학원이나 학습지를 하면서 초등교육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초등, 중학교, 대학교 흐름이 어떻게 흐르는지
과연 대학교를 지나 앞으로 인생에 있어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보고 준비해야 하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남들이 한글공부 시작했으니깐, 영어공부를 하고 있으니깐
영어학원을 지금부터 다니지 않으면 앞으로 힘들어질 거라는 이야기에 무작정 달려갈 수는 없는 노릇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선택한
<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진로진학 >
<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진로진학 > 책에는 목차가 나와있지만,
그 목차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한 눈에 보이는
한 눈에 보는 재능 포트폴리오 체크리스트가 책 앞 부분에서 시선을 끕니다.
교육, 산업, 직업 등 우리의 현실과 미래 이야기를 나누면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현재 산업, 직업, 일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곳이 없으니
현재 아이들의 교육에도 그 부분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는 노릇입니다.

실제로 다른 나라들의 교육 모습도 많이 변화하고 있네요.
미국 MIT 와 하버드 대학교의 명강좌인 무크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무료 강좌라고 합니다.
강좌 후에 받는 무크 수료증은 직무 능력을 평가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구글은 직무 능력 평가시 이를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K-무크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다녔던 학교, 수업 모습은 옛날 옛적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는 듯도 합니다.
컴퓨터로 미디어로 공부하는 시대가 열려서
학교에서도 활용이 시작되고 있는 지금이지만,
여전히 문해력은....아니 그래서 더욱 가장 먼저 키워야 할 역량으로 뽑히고 있네요.

글자를 읽을 수 있으나, 글을 읽을 수 없는 아이들이라는 문구가
왜 이리 와닿는지요.
MRI 분석 결과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하거나 멀티태스킹을 반복했을 때
인간의 뇌에서 생각중추를 담당하는 회백질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본 이야기입니다.
그러면서 이 책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4차 사업혁명 시댕 ㅔ아이들이 가장 먼저 키워야 할 능력은 문해력이다.
우리의 언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서 (Digital literacy, 디저털 문해력) 을 키울 수 있다."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야기했지만,
그런데 왜 요즘같이 미디어로 많은 것을 해결해야 하는 건가에 대해서는 생각을 덜 해보지 않았나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하면 안 좋은 점을 더욱 부각하고,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이야기를 얼마나 했는지 생각을 해보면서
이 책을 읽어나갔습니다.
<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진로진학 > 책에는
초등, 중등 고등과정에서 아이에게 필요한 역량이나 경쟁력, 성격 등을 체크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들이 많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 목록을 체크하다보니
부모와 아이가 잘 하고 있는 점이 무엇이고,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무엇을 더 고려하며 앞으로 어떤 교육에 좀더 신경써야 하는지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6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 저는
뒤에 나온 체크리스트는 앞으로 이 시기에는 이런 것들을 생각하는구나 정도로 살짝 들여다보는 느낌으로 봤지만,
고학년들을 키우는 부모님들은 하나하나 목록을 체크하실 것 같네요.
저도
우리 아이 기질 체크리스트, 부모 양육 태도 검사는
문제마다 체크하는 1번, 2번, 3번이 각각 몇 개인지 체크해보았습니다.
저 혼자 책을 보면서 하니
더욱 솔직하게 대답하게 되고 제가 앞으로 놓치고 있었던 부분을 잘 기억하면서
아이에게 제 육아 태도부터 적용해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