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폐 아들과 아빠의 작은 승리 ㅣ 장애공감 2080
이봉 루아 지음, 김현아 옮김 / 한울림스페셜 / 2018년 8월
평점 :
자폐
아이를 키우는 특별한 이야기라서보다는
아들을
키우는 아들맘으로 와닿는 이야기라서
선택한 책
한울림
스페셜/ 자폐 아들과 아빠의 작은 승리
이 책을 선택했던 이유는?
이봉
루아 작가의 서문을 읽고,
“
내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싶은 건 자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 일은 전문가가 더 잘 할 수 있다. 물론 자폐가
나와 내 아들의 삶에서 중요한 위기를 차지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나는 장애아 부모뿐만 아니라 아이를 키우는 세상 모든 부모에게
이야기하고 싶다.
부모라면 누구나 자식을 키우면서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기 마련이라고. 그 중 가장 큰 도전은 아이가 부모인
우리에게 어떤 시련을 안겨주더라도 아이를 사랑으로 대하고 아이와 함께 이겨내야 하는 거라고.”
4살 아이를 키우면서 가끔 힘들다고 느낄 때에,
아이에게 짜증을 내던 내 모습을 떠올리며
'아들을
키우는 아빠는 어떻게 했을까?' 궁금해졌기 때문입니다.
자폐 아들과 아빠의 작은 승리 는
자폐아
아들 '올리비에'를 키우는 아빠가 직접 쓴
책으로,
만화책 형식으로 써내려가 어렵지 않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자폐 아들과 아빠의 작은 승리_ 도서정보
저자 이봉루아
출판
한울림스페셜
갓
태어난 아이가 조금씩 자라는 모습을 보며
처음
아이를 키우는 엄마,
아빠는 그 모습이 그저 신기합니다.
"넌
누구니?" 작가가 아이의 자는 모습을 바라보며 물어보는 모습을 보며, 그 마음이 이해가 갑니다.
나를
닮은 듯, 배우자를 닮은 듯한 내 아이를 보면 그저 신기하고,
이
아이가 어떻게 우리에게 왔는지, 앞으로 어떻게 커갈지 궁금하죠.
그렇게
건강하게 무궁무진한 길을 저벅저벅 걸어갈 것 같은 아이가
자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의 부모의 심정은 어떨까요?
어땠을
거다라고 짐작하여 쓸 수는 있지만,
현재
그 현실을 겪오있을 부모들에게는 조심스러운 접근의 지레짐작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가는
어둠 속에 갇혀 꽥꽥 소리 지르는 까마귀로 자신을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엄마와 아이를 떠나보내고 마네요. 이 아픔의 순간을 떠올리며 그림으로 그려야 하는 만화가는
서문의
내용처럼 두려웠을 겁니다.
그래서
이 책을 내기가 더 조심스러웠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빠는 '이럴 때가 아니지. 아이를 챙겨야지.' 마음을 다잡고,
헤어진
아내와 자신들의 약속을 성실히 지키며 아이를 번갈아가며 잘 돌봅니다.
아빠가 높은 탑을 쌓은 아이에게 접근하는 방법이
자폐 아이와
아빠의 작은 승리을 읽으며 가장 인상깊은 부분이었습니다.
높은
탑을 깨고, 왜 안 나오냐고 소리를 지르는 부모가 아닌
그 탑으로 들어가 탑 안에 있는 아이와 함께 앉아 이야기합니다.
"이제부터 너는 혼자가 아니야. 절대로..."
이
부분을 보며 매일 함께 놀자고 노래를 부르는 4살 아들이 생각났습니다.
혼자
있기 싫다고 이야기하는 아들의 마음을 나는 매번 들어줬는지 물으면, "아니." 라는 답이 나오네요.
오늘
우리 아이에게 해야 하는 말이 생겼네요.
"너는
혼자가 아니야. 항상 엄마와 아빠가 항상 함께 있어줄게." 라고 우리 아이를 꼭 껴안으며 말해줘야 할 것 같아요.
자폐 아들과 아빠의 작은 승리라는 책은
아빠였기
때문에 아들을 더 이해했을 것 같은 부분들도 많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자신의 일에 몰두하면 엄마 말은 귀로 들어가 다른 귀로 흘려보내는 듯한
아들을 키우는 엄마에게 특히 권하고픈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