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 선사 시대 ~ 남북국 시대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지음, 신진호 그림 / 다산어린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이라는 부제의 「역사의 쓸모」에 이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가 출간되었다. 언제나 문제를 겪고,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하는 우리의 삶에서 선조들의 지혜와 역사적 사건의 인과관계를 배우는 것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역사를 과거의 사실로 알고 묻어두기보다는 오늘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고, 역사를 통해 인생의 실마리를 찾아간다면 그것이 쓸모 있는 역사의 사용법일 것이다. 역사는 어쩌면 쓸데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길을 잃고 방황할 때마다 나는 역사에서 답을 찾았다”는 큰별 최태성 선생님의 말씀처럼 역사는 오늘의 우리에게 삶의 방향과 의미를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다.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는 우리가 현실에서 역사의 쓸모와 가치를 발견해나가도록 이끌어준다.

어린이 역사서라고 하면,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에 대해 재미있게 풀어내는 학습 만화가 먼저 떠오른다. 또 역사적 사실을 열거하며 관련 사진을 보여주는 책도 있다. 하지만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는 만화 형식도 아니고, 삽화마저 추상적으로 상상하도록 그려져 있다. 게다가 모든 소제목들이 질문의 형식을 갖고 있다. 큰별쌤은 이 책을 '불친절'하게 의도해서 썼다고 밝히고, 이를 통해 상상하며 생각하는 힘을 기르며 또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도록 하고 있다.


목차

1. 지나간 일을 굳이 배워야 하나요?

2. 곰이 인간이 되는 이야기도 역사인가요?

3. 고구려는 광개토 태왕이 다 한 것 아닌가요?

4. 순수비는 순수하게 돌만 서 있어서 순수비인가요?

5. 백제는 왜 이렇게 존재감이 없나요?

6. 삼국 시대인데 나라가 네 개라고요?

7. 한국, 중국, 일본 중 어느 나라가 가장 뛰어났나요?

8. 고구려에 진 수·당은 시시한 나라인가요?

9. 신라는 어떻게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나요?

10. 원효 대사는 정말로 해골 물을 마셨나요?

11. 중국은 왜 발해를 자기네 역사라고 하나요?

12. 위인들은 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똑똑한 사람들인가요?


질문을 하는 것을 꺼려 하고, 정해진 답이나 빨리 알려달라는 교실 분위기 속에서 역사 속 의미와 쓸모를 발견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하지만 목차의 질문을 본 어린이들은 '이런 질문도 부끄러운 것이 아니구나', '나도 이런 것이 궁금했는데 이상한 것이 아니구나'라고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이런 질문을 통해 우리는 역사의 본질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역사의 사건들을 이해하며 더욱 의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가 그 상황이었다면 어땠을까?', '나는 이제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해가면서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며, '나만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이 배우지 맙시다!"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들어가는 글 중에서


들어가는 글 첫 문장에서 큰별쌤은 많이 배우지 말자고 한다. 이 책에서는 머리에 지식만으로 남은, 글로 배운 역사가 아니라 상상하며 생각하며 오늘날 내가 살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끌어다 쓸 수 있는 유용한 역사를 만날 수 있다. 학문으로써 지식만 넓혀가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통해 현실을 마주하고 어려움을 이길 수 있는 지혜와 힘을 길러준다.

이번에 출간된 1권은 선사 시대 ~ 남북국 시대로 구성되어 있다. 수렵채집을 해서 살아온 원시인들의 삶에서 무슨 배울 것이 있을까 싶었지만, 그들은 스스로 필요한 도구를 구하고 함께 살아남기 위해 지혜와 힘을 합쳤다. 그때보다 살기 편리해진 세상이지만 우리는 여전히 다른 사람과 돕고 의지하며 살아감을 일깨워준다.

이렇듯 선사시대부터 시작하여 고조선 건국 이야기에서는 홍익인간의 정신,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업적에서는 선택의 힘 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세르반테스는 「돈키호테」에서 “역사는 진실의 어머니이자 시간의 적이며, 행위들의 창고이자 과거의 증인이며, 현재에 대한 표본이자 조언자이고, 미래에 대한 상담자다”라고 했다. 역사 속 인물의 삶과 역사적 사실이라는 창고 속에서 오늘 우리가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각자의 보물을 발견하는 것, 그것이 역사의 쓸모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ㅡ다산어린이의 서평단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