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 카프카 단편선 소담 클래식 7
프란츠 카프카 지음, 배인섭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변신 카프카 단편선

프란츠 카프카 배인섭
소담

화부, 선고, 변신 이라는 세 단편 작품이 수록된 카프카의 단편선이자 당시에 이 단편선의 제목을 '아들'로 하려고 하였다하니 아들 3부작이라고 해도 좋겠다. 이 세 작품이 모두 아들이 주인공이다. 어엿하고 든든한 아버지가 아니라 아직은 무언가 부족한 아들이다.
독립하고자 하는 바램으로 부모의 슬하를 떠나 삶을 꾸려나가는 모습을 애써보였음에도 결국 아버지의 그늘 안에 거하는 의존적인 포지션을 벗어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아들에서 그쳐버렸다.

변신이란 작품을 볼 때 사람에서 벌레가 된 변신한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 속에서 많은 생각이 한꺼번에 몰려든다.
그는 모든 사람이 혐오하는 것 중에서도 매우 극혐스러운 납작하고 가는 다리를 가진 벌레인 아마도 바퀴벌레류의 벌레 모양으로 분했다. 그 모습을 묘사한 저자의 글을 자세히 읽기도 썩 내키지 않아 묘사부분은 재빨리 눈으로 훑었음을 고백한다.
사람이 벌레가 되었다는 것은 실제로 벌레가 되었다기 보다 누구나 벌레의 모습이 되고싶지 않음에도 타인들에 의해서 자신을 벌레처럼 여기는 상황이 올 수도 있고 아니면 스스로 벌레같은 존재가 되어 타인의 관심으로 멀어지려고 하는 마음을 대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혹은 어차피 벌레같이 여겨지는 존재로 전락했으니 더 나아질 수 없으니 자포자기하는 심정에 자신을 내맡긴 잠자의 모습도 보았다.

세상에서 가장 혐오스런 존재로 전락해버린다면 당신은 어떤 감정을 가지게 될것이며 어떻게 세상에 맞서서 살아가야할 것인가. 보여지는 모습이 다는 아니지만 보여지는 모습에서부터 절망적이어서 사람들이 가까이조차 하지 않을 때 당신은 어떤 것들을 타인에게 보여줄 수 있고 그것으로 멀어지는 간극을 좁혀갈 수 있을 것인가. 그저 무시받지 않을 보통의 존재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내 인생의 가장 황금기에 최하의 모습으로 다시 시작하도록 삶이 부여될 때 나는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 하며 과연 해낼 수 있을까? 포기하지 않을 자신이 있을까?
여러가지 내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고 만다. 사회관계 속에서의 변신은 우리에게 언제든지 불특정하게 일어날 수 있고 그런 일이 일어날 지라도 의연하게 대처해 나가야할 담대함과 용기를 미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나에게 기회를 주고 있었다. 변신이라는 작품의 가장 불쌍한 주인공인 그레고르 잠자를 통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