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니체 열다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 엮음, 홍성광 옮김 / 열림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
홍성광
열림원

우리가 위대한 사상가 니체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책이다. 먼저는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저작들의 글을 모꼬지한 선집을 보았는데 이와 동일한 형식을 답습한 니체의 선집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동일 인물인 벤츠이며 그의 책 구성 방식에 있어서 전적으로 매우 찬성한다. 왜냐하면 다양한 니체를 주제로 한 또는 니체의 작품을 주제로 한 책들이 있지만 이 책은 저자 자신의 생각을 녹여 재구성한 여느 책들의 스타일과는 달리 니체의 주장과 글을 그대로 가감없이 실어주었기 때문이다. 어떤 면에서 위대한 사상가의 글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여기면서 재구성한 글들의 수준이 독자들의 기대에 못미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차라리 그럴바엔 원문을 그대로 가져와서 독자에게 글의 감상과 느낌을 전적으로 전가해주는게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혹은 철학 유투버인 '충코의 철학'의 서적같은 스타일처럼 철학자의 소개 정도나 그의 저서에 대한 소개로 그치면 좋을 것이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벤츠의 책이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방식임은 변하지 않는다.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강하게 한다, 결혼에 성공하려면 일시적인 것들이 아닌 평생동안 얘기를 나누며 소통과 조율하는 과정이 잘되는 사람과 해야하는 것이다, 원수와 적에 대한 이야기, 위인들은 전부 다 위대한 일꾼들이었다 등 그의 말과 글은 피부에 바로바로 와닿고 실천과 적용을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서 좋았다. 쇼펜하우어와 비교했을 때 좀 더 직접적이고 심플하게 다가왔고 구체적이었다.

니체의 작품이 오랫동안 읽히는 이유는 너무 인간적인, 인류에 대한 한 인간의 사랑때문이 아닐까싶다. 어떤 이는 그렇게 느끼지 않을 수도 있지만 내 생각에는 '안티크리스트'를 쓴 니체는 기독교라는 외형을 쓴 타락한 욕심에 찬 인간의 모습을 안티하였던 것이지 기독교의 진리와 정신을 안티하지 하였고 오히려 기독교적인 박애 정신을 실천했던 인물로 보고 있다. 그의 삶에는 기독교 정신이 크게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오히려 그 점이 기독교를 비판할 수 있었던 연유라고 본다. 강하게 사랑하는 것과 신랄한 비판의 크기는 상반되지만 비례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