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메라의 땅 2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메라의 땅 2

베르나르베르베르 김희진
열린책들

두번째 편에서 전혀 다른 양상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저자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SF영화의 시나리오를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역시 특유의, 작가다운 박진감 넘치는 흐름을 잃지 않으면서 이야기를 진행시켰고 그럴때마다 긴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장치인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을 등장시켜 균형을 맞춰주었다. 전적으로 이부분은 베르나르베르베르 의 전형적인 스타일과 매력이다.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작가 중의 한 명이란 것도 쉬이 납득이 가게 된다.

키메라 혹은 혼종(하이브리드) 어느편으로 불러도 좋다고 책에서도 인물들이 얘기하기도 하는데 난 혼종이 더 직설적이라 좋다. 스스로는 에둘러 얘기하는 습관을 가진 편이지만 외부에서 들어오는 말이나 정보는 직설적인 것을 더 선호한다. 가지지 못한 부분에 대한 동경과 시원스러운 소통을 더욱 원해서이다.
지난 1편에서는 혼종에 대한 나의 생각이나 그들을 대하게 된 자세를 언급했는데 2편에서는 스토리가 훨씬 진행이 되어서 양상이 다르다. 정착해서 살고 인간과 또는 다른 혼종(혼종인류는 총 세종류임)과의 갈등으로 인해 자주 대치되곤 했으며 강한 린치와 물리적인 위력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도 잦았다. 결국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선택을 한 종도 발생되며 나머지는 그러지 못하고 늘 대치를 겪으며 갈등속에 남아 있는다. 문제는 이것이 아닐까. 인간의 책임부재, 인간이란 선과악이 공존하는 존재의 한계와 시행착오에 따른 비극 등 여러가지 원인들이 떠오른다. 안 좋은 결과를 낳았고 수습하기엔 늦었다.

2권의 마무리에 있어 후일담은 독자들의 상상에 맡겨본다. 우리의 미래가 유토피아가 될 지 디스토피아가 될 지는 우리에게 달려있다. 혼종이 굳이 등장하지 않아도 인간들의 소속된 나라들 사이에는 여전히 분쟁과 갈등은 끝나지 않고 진행중이다. 앞으로 인구의 십분의 일이나 훨씬 더 적어지는 일이 생길런지는 모르겠다. 여튼 적어도 앞으로 우리는 책에서 혼종인류를 대하듯이 같은 형제인 상대방을 대하지 않는 인간사회로 거듭나야 하며, 모든 이가 첫째로 자연에 순응하며, 다음은 사해동포주의를 실천하며 살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살 길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