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그대로의 자연 -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
엔리크 살라 지음, 양병찬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 그대로의 자연

엔리크 살라 양병찬
열린책들

읽는 내내 벅차오르게 만든다. 압도적이고 불규칙해 보이는 때로는 변덕스러워 보이는 자연이 너무나도 질서정연하고 빈틈이 없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어느 누가 자연의 순환을 막을쏜가. 인간은 문명이 발전할수록 더욱 부분적으로 자연에 훼손을 가하고 있다만은 결국은 그들도 자연의 일부인이상 자연에게 해꼬지를 한대로 고스란히 돌려받게될 것이다. 자연은 버리는 것 없이 생산하고 배출하고 재생시키고 다시 생산하는 일을 반복한다. 그런 생태계 속의 교란종이 스스로 되지 않도록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취해야 할 모습은 어떤것일까? 그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고 생각이 든다.

토양으로 이뤄진 대지, 그보다 더 넓은 지구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광활한 바다, 그 위를 둘러싼 끝없이 펼쳐진 대기와 우주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다.
특히 대지만을 보아도 토양속에 수많은 무척추동물과 미생물과 균사들이 존재하고 있고 그 덕분에 나무와 식물들이 자라나고 군락을 이룬다. 군락을 숲이라고 부른다. 그 옆에 강이 흐르고 물과 대지 사이에서 생물들이 오가며 생존한다. 그리고 해양에서 생태계의 부분도 자세히 올려주셨다. 먹이사슬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인위적인 손이 닿으면 안되는 지도 말이다.

저자는 해양생물학자로 해조류연구를 처음 시작해 전공을 가지고 일하다가 해양센터에 취직해서 연구와 교수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인 조사와 연구에 의미를 못 느끼고 직접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운동가로 나선 열정적인 활동가이다. 그리고 수십년을 활동가로서 연구자로서 살아온 결과를 책 한 권에 담았다. 그리고 자연을 훼손하는 일들을 일삼는 인류에게 경종을 울려주고 있기도 하다.
환경을 보호하는 그린피스라는 단체도 있고 또 군소단체들도 있을터다. 얼마나 그들에 관심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지 물어보기 민망힐 따름이다. 먹고 사는 일에 바삐 살면서 자연을 돌보기는 커녕 자기 몸도 제대로 관리못하는 마치 쳇바퀴를 열심히 돌려대는 다람쥐 같은 삶을 사는 우리에게 삶이 그냥 살아지는 것이 아님을 제대로 인식시켜주는 계기가 됐다.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살지 않아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또 작은 환경보호를 위해 작은 것이라도 뭔가를 실천해야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