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사적인 미술관: 이건희 홍라희 마스터피스 - 한국 근현대미술사 대표작부터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희귀작까지
권근영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사적인 미술관: 이건희 홍라희 마스터피스

권근영/중앙북스

아주 사적인 미술관이란 제목을 붙였으나 사실은 너무나 공공의 미술관인건 책을 읽다보면 알 수 있다.
삼성가 이병철회장시절부터 모아온 고미술품들이 이건희 전회장까지 이어져 국위선양을 이루기도 하였음이 개인 취향에 기인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어떤 깊은 속 마음의 무언가가 싹트며 민족의 빼앗긴 고미술, 예술작품을 사들여 온 과정들이 놀랍고 벅차고 감격스럽다.
고서적이 다수이며 도자기도 다수있고 서화, 조각들도 여럿이다. 무려 일만여점이 넘는 수이다. 그리고 국립중앙미술관에 대부분을 기증, 지방각지의 예술가의 고향에 자리한 박물관에 기증이 되었으니 이보다 더 공공의 미술관은 없을 거 같다. 과거에 조선때인가 사재를 들여 고미술품을 모은 어떤 사업가가 생각이 난다. 그가 환생한 것일지 그의 유지가 기려지며 삼성가에 전해진 것인진 모른다. 결과적으로는 대환영이고 영광이라고밖에 할말이 없다.

그렇게 마스터피스는 공개되어 책 한권에 최대한 간추려 들어가져 있다. 책한권 작품만 나열해도 지루하거나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서 저자의 배경지식을 함께 곁들여보면 그림과 그린 이의 멋과 수준이 더욱 치솟기도 한다. 글이란 그렇다.

내가 들어 본 화가 이중섭 박수근 장욱진을 기본으로 백남순 최종태 도상봉 박대성 이배 와 같은 이미 세계적으로 주목받거나 국내에서 알려진 인물들이 나온다.
작품의 퀄리티는 알아보기 어려운 것도 있지만 예술계에서는 인정이 된 분들이다. 특히 현재 박대성작가, 최종태작가(구순되심), 이배작가님은 현존해 계신 분들이고 다른 분들은 작고하셨다.

내가 느낄 수 있었던 것은 그림을 많이 그리는 것 , 많은 시간을 그림과 조각으로 보내는 것은 기본이고 미술이 사람이 된다면 그들이 바로 미술 그자체였다는 점이었다. 외형은 사람, 내면은 미술이었다. 그렇게 미술과 함께 오랜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 사람은 어느새 곧 미술이 된다. 그리고 영원한 미술을 꿈꾸는 곳으로 떠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