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삶을 사랑할 수 있는가 EBS 오늘 읽는 클래식
한상원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한상원/EBS북스

저자 한상원님은 충북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신 뼛속까지 철학도일터인데, 이 책을 보면서 니체의 반철학사상(철학을 반대한 철학, 전통적인 철학에 반하는 철학)에 매력을 느꼈으며,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 영감을 얻어서 철학을 입문하기 시작했다는 점, 리하르트 바그너를 존경했으나 그의 전체주의 사상과 히틀러의 사상에 찬동하고 타 민족과 다른 우수한 민족이 존재하며 평등하지 않다는 입장차이로 인해 결별한 것, 1844년 생인 그가 1870년이 되던 해 즉 26세에 그래도 힌 대학의 철학과목 정교수가 되었다는 점과 9년후인 1879년에 건강이 문제가 되어 교수를 그만두고 장기요양에 들어간 점, 루 살로메라는 여인에게 프로포즈를 일생에 한 번 했으나 거절당하고 그녀의 결혼소식을 듣고 절망한 점(니체도 인간적인 평범한 사람이다), 요양 중에 여동생과 어머니와 동거하며 보살핌을 받으며 1900년이 되는 해 즉 56세에 유명을 달리하게 됐다는 인간으로 니체에 대해 알면서 니체를 다시보았고 전보다 마음에서 더 가깝게 느끼게 됐다.

이 책의 독자들이 차후 니체를 잘 읽을 수 있도록 하이데거, 질 들뢰즈, 알랭바디우 등의 자신들이 본 니체에 대해서 쓴 책을 소개하는 페이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 같다. 심지어 작곡도 꽤 했던 니체는 그의 음악과 문학성으로 그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말러 그리고 슈베르트의 음악 등에도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뭉크는 니체를 생전에 못봤지만 그의 초상을 그리며 교감했다.

차라투스트라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조로아스터이다. 해당 종교 창시자의 입을 빌어 안티크리스트의 입장으로 철학을 펼치지만 반기독교적인 종교관으로 현 기독교인들에게 마음불편러로서 군림하려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반추종자라기 보단 순수한 철학적사유로 봐주면 좋겠다는 언급도 했다.

한편 내용에서 보면 잘 쓴 서평처럼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1부에서 4부까지 핵심요약을 해서 잘 소개하고 있다. 니체를 알기 위한 입문서를 위한 입문서라고 볼 수 있는 이 책을 먼저 들춰본다면 니체읽기의 길잡이로 충분히 삼기에 부족함이 없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