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은 우울하지 않았습니다 - 무너진 마음을 일으키는 감정중심 심리치료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 지음, 문희경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아침은 우울하지 않았습니다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문희경
더 퀘스트

책에서 소개하는 변화의 삼각형 모델은 유용하고 개인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마음의 길잡이가 되어 각 꼭지점에 방어, 억제감정, 핵심감정이라는 세가지 주제를 두어서 각 주제에 하위개념들을 각 꼭지점에 바꾸어 대입해보면서 자신의 현 시점을 비추어보는 유용한 도구이다.

변화의 삼각형 모델에서 치유의 마지막 단계는 즉, 목적은 '핵심감정'에 진입하는 것이다. 책의 진행구성은 내담자들의 이름이 한 명씩 나오면서 그분들의 실제 마음의 문제들을 사례로 들몀서 치유과정을 설명하는 점이 자연스러웠고 몰입이 됐다.

감정을 추스리는 간단한 동작을 설명해주는 것이 있는데 더할나위없이 유용한 부분이다. 예를 들면 발로 땅을 딛고 있는 상태에서 땅을 바라보고 의식하는 '그라운딩', 마음을 편안히 만들어주는 '복식호흡', 주변의 사물을 제자리에서 2분간 둘러보면서 냄새 등 '사물을 느끼기' 같은 행동은 작은 것 같지만 일련의 행동들을 통해 안식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모든 치유를 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조건은 내 상황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것부터이다. 분노의 감정을 참아야하는 부류가 있고 분노를 표출해야만 하는 부류가 있다. 어떻게 표출해야하는지 어색하고 불편하더라도 표출할 줄 알아야하며 상대에게 불편하다, 아니다 라는 확실한 신호를 보내는 노력을 해야한다. 이는 연습과 반복의 과정으로 이룰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자부심은 내가 무언가 성취했을때 얻어지는 감정이고, 감사하는 마음은 다른 사람이 나에게 따뜻해지는 무언가를 선사해줄때 생기는 감정이다. 여튼 두가지 모두 우리 삶을 풍요하게 해주는 자양분이 된다.

수치심은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피어나는 마음이고, 죄책감은 내가 스스로 어떤 일에 대해서 잘못이라고 느끼는 감정인데 두 가지를 연이어 설명하면서 수치심은 원인을 찾아 극복해야 할 대상이며, 죄책감은 잘못을 회개하는 긍정의 도구가 될수도 있지만, 가지지 말아야 할 자기학대적인 행위가 될수도 있다고 한다.

우리 뇌는 경험에 따라서 적절한 단어로 표현할 때 편안해진다고 하며, 감정단어와 감각단어를 부록으로 실었다. 예시가 풍부하므로 자기 경험에 맞는 단어를 찾아 적절히 써먹으면 좋겠다.
감정은 감정일 뿐이라고 했다. 감정에 내 자신이 절대 지지말아야겠고 열린마음으로 살기 위하여 스스로 도움을 받을 최적의 도구로 이 책을 추천 드린다. 책을 제공해주신 출판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