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100년 전통 자기관리 수업 - 성공할 수밖에 없는 하버드의 자기관리 24강 하버드 100년 전통 수업
류웨이위 지음, 이재희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 100년 전통 자기관리 수업

류웨이위 지음/이재희 옮김
리드리드출판

자기관리는 너나 할 것없이 너무나 중요하다. 영어로 셀프 매니지먼트다. 회사가 아니라 내 자신을 경영하는 것이 자기 관리다. 그런 면에서 누구나 자기를 경영하는 사업가인 셈이다.

서양에서는 자기관리의 달인들도 많고, 관련 기관도 많겠지만 그런 달인들을 배출한 곳은 어디일까. 아마도 하버드가 아닐까 싶다. 그런 서양에서도 대표적으로 꼽는 자기관리의 상아탑 하버드에 대한 스토리를 동양인인 한 중국인이 저술했다는 것 자체로 매우 독특한 일이다. 더군다나 이번 이야기는 지난 첫번째 이야기에 이은 후속편이다. 동양인의 시선으로 서양의 자기관리 방법을 소개한다면은 같은 서양인이 서술한 것보다는 훨씬 객관적일 것이라 그 점은 높이살 만하다. 마치 일본인이 한국인의 자기관리방식을 보고 객관적으로 서술한 것과 같다고 할까.
하버드대학교는 각종 분야에 수많은 인재를 배출해냈다고 자타가 인정한다. 공부의 양과 질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럼 자기관리는 과연 어떻게 할까.

여담으로 역자인 이재희는 루쉰('아큐정전'의 저자 노신)에게 반해 그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에서 문학으로 박사를 취득한 사람이다. 그래서 나도 루쉰에게 관심이 갔다. 과연 어느 정도의 작가길래 중국까지 한국인을 가게 만들었을까하면서 말이다.

총 24강으로 필요한 것 먼저 골라서 찾아보면 좋겠다. 그렇게 타겟형식으로2 읽으면 기억에 더 오래남는다. 예를 들면 제12강 '좋은 습관하나가 성공을 불러온다' 라거나 제21강 '포기하는 법'을 알고 싶다면 말이다.

자기 관리가 되는 사람들은 특별히 강하게 태어난 것이 아니다. '로젠탈효과'라고 해서 자기가 믿고 싶은대로 믿고 행동하면 그렇게 되어지는 것이 사람의 잠재적인 능력이었다. 주눅들지 말고 자기약점을 맞닥뜨리면 맞서야 한다고 한다.반복적으로 포기하지 말고.

하버드에서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들까지도 학교에서 잠도 안자면서 벅찬 학업을 따라가기에 바쁘다. 이것은 미래를 위한 투자였다. 잠시의 고난을 장차 올 영광과 비교할 수 없다는 성경의 말씀처럼 살고 있었다.
하버드라는 한 조직을 통해서 끝없는 도전과 희망적인 영감을 받을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