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추천하는 한국어 성서

가톨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성경과 개신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새번역 개정판 성서(오른쪽 이미지)이다가톨릭 성경은 현재 출간되고 있는 한국어 성서가운데 히브리어와 헬라어 성서의 본문에 가장 충실한 성서로 평가된다일반 기독교인들특히 개신교인들에게는 표준새번역 개정판 성서도 좋은 성서이다. 다만 그 이전 시기에 나온 성서예 를 들어 개역 한글판과 개역 개정 성서는 원어를 제대로 번역하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열왕기하 23장 29절에서 "아시리아 왕을 치고자 하여"는 על מלך을 개역 한글판과 개역 개정에서 잘못 번역한 것이다. 가톨릭 성경과 표준 새번역에는 "아시리아왕을 도우려고"라고 맞게 번역되어있다) 오래된 한글 문체가 매끄럽지도 않고 불필요한 한자어 때문에 현대어를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와는 맞지 않는 성서라고 본다


추천하는 영어 성서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는 영어 성서들을 번역 원칙에 따라 분류해보면 이렇게 나누어 볼 수 있다(출처- John Collins 외 공저Translating Truth: The Case for Essentially Literal Bible Translation, 2005).

문자적 번역(Literal Translation)의 원칙을 따른 영어 성서에는 KJV(King James Version 킹 제임스 버전), NRSV(New Revised Standard Version, 왼쪽의 이미지) 등이 있다이와는 다르게 NIV(New International Version)는 문자적 번역과 자유적 번역을 혼합한 성서라고 볼 수 있겠다자유적 번역(Liberal Translation)을 따르는 성서에는 대표적으로 NLT(New Living Translation)가 있다.

영미권 대학에서 성서학 전공자들에게 가장 애용되고 있는 영어 성서는 현재 NRSV이다주로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 추천 영어 성서

학자들은 대체적으로 자유적 번역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성서에 대한 비판을 많이 하는데 그 이유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본문에 충실히 따르지 않는다는 것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도 예를 든 영어 성서 가운데 NLT를 가장 일반인들이 피해야할 성서라고 보고 있다(왼쪽 이미지)문학은 어느 정도의 의역이 허용이 된다고 보지만 성서는 문자적 번역에서 벗어날 경우에 잘못된 신학적 해석을 야기할 수 있고 원어를 모르는 기독교인들은 잘못된 성서의 이해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NIV도 오류가 많은 성서라서 좋은 평가를 내릴수는 없지만  NLT보다는 그나마 나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UCLA대학 고대근동학과 교수인 윌리엄 슈니더윈드(William Schniedewind)의 ‘How the Bible became a book’의 한국어 번역본이 성경은 어떻게 책이 되었을까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이 책은 히브리어 성서의 형성과정을 다룬 책이라고 보면 되겠고 현대 구약성서학의 경향을 잘 담은 책이라고 볼 수 있겠다다만 한가지 염두해야 할 점이라면 구약성서가 어느 시기에(예를 들어바빌론 포로기 이후이냐 아니면 그전이냐 등등몇 번의 편집과정을 거쳐서 원전화되었느냐는 문제는 여전히 미국의 학계(하버드 학파)와 유럽의 학계(괴팅겐 학파)가 다소 다른 의견이 있고 이 책은 미국의 학계의 의견에 기우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두 권 모두 신약성서의 형성과정에서 드러난 오류와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신약성서학자 바트 어만(Bart Ehrman)의 책이다. 성경 왜곡의 역사(Misquoting Jesus: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Bible and Why) 2007년에 그리고 예수 왜곡의 역사’(Jesus, Interrupted: Revealing the Hidden Contradictions in the Bible) 2009년에 미국에서 출간되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성경 왜곡의 역사의 내용이 더 낫다고 보지만 두 권 모두 전공자나 일반인에게 추천한다.  


‘70인역 성경으로의 초대 2005년에 미국에서 출간된 말 그대로 70인역 성경 입문서이다.70인역 성경은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로 재 번역한 성경이다. 한국에서는 70인역 성서학이 그다지 활발하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은데, 아마도 헬라어로 된 성서에 관해서는 주로 신약성서를 다루고 있고히브리어 성서에 비해서 70인역 성서가 주는 원전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학계의 입장 때문에 그렇다고도 볼 수 있다. 헬라어와 신약학 전공자에게는 필수서이다.





누가 성서를 기록했는가는 리처드 엘리엇 프리드만(Richard Elliot Friedman) 1986년에 초판을 시작으로 베스트셀러에 올린 구약성서의 형성과정에 대한 입문서이다.  미국에서 호평을 받은 책이 한국에서의 반응은 놀라울 정도로 저조하다. 이 책은 저자가 성서학의 용어들을 쉽게 풀어서 덜 학문적이면서 일반인도 접근하기 쉽게 썼다는 점이 장점이다. 다만 위에서 소개한 윌리엄 슈니더윈드의 '성경은 어떻게 책이 되었을까'보다는 성서학계의 입장과는 약간 동떨어진 가설에 의존한다는 점을 유의하고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브리어 사전

초급용(학부생)


옆의 이미지는 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히브리어와 아람어 사전의 내용을 요약해서 줄여 할러데이(W. L. Holladay)가 출간한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의 한국어 번역본이다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사전에 비해서 내용이 간단해서 초보자에게는 적당할 수는 있지만 아마도 창세기를 넘어가면서부터는 다른 사전이 필요할 듯 보인다이 사전이 필요 없어질때가 되면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을 사야될때가 왔다는 신호이다초보자에게 가장 적당한 사전이다.

 

중급용(대학원생)


쾰러(L. Koehler)와 바움가르트너(W. Baumgartner)의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이다. 2001년에 출간된 2권짜리 스터디 에디션(Study Edition)이 가지고 다니는 데나 사전으로 활용하기에 좋다. 영미권 국가에서 현존하고 있는 성서 히브리어 사전가운데 가장 우수한 사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성서학 전공자들이 필수적으로 소장해야될 사전이다.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은 문법서와 마찬가지로 대단히 오래된 사전이다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이 중급자 이상에게 가장 필요한 사전이라면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은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있으면 가끔씩은 도움이 될 때가 있다고 할 수 있는 보충사전과도 같다고 볼 수 있겠다. 오랜시간을 들여서 한국어로 번역한 번역자와 출판사에는 미안한 이야기지만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을 가지고 있다면 이 사전을 구입할 이유는 전혀 없다이 사전의 가장 큰 약점을 꼽는다면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사전이 출간될 당시에는 고대 근동학 연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서 게제니우스 사전에서 의미가 모호하다고 여기던 히브리어 단어들이 많았다. 그후 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사전에서는 이러한 히브리어 단어들의 의미가 다른 셈어(Semitic Language)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급용(학부생) 


게리 프라티코와 마일스 반 펠트의 베이직 비블리칼 히브리어 문법’(Basics of Biblical Hebrew Grammar)이왼쪽 이미지가 한국어 번역판이다. 특이한 점은 원서에 비해 한국어 번역본의 가격이 저렴하다. 게리 프라티코의 이 문법책은 미국에서 상당히 인기가 높고 상당수의 성서학 전공자가 이 책으로 히브리어를 공부할 정도로 좋은 책이다아마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한국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좋은 히브리어 문법책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처음으로 성서 히브리어를 배우려고 하거나 배우고 있는 목회자나 신학생들에게는 필독서이다. 초급자용 히브리어 문법서이다.


중급용(대학원생) 


게제니우스의 히브리어 문법서(Gesenius’ Hebrew Grammar)이다. 1910년에 출간된 상당히 오래된 문법서이며 영어사용에 문제가 없다면 한국어 번역본보다는 영어판을 사는 것이 가격에서 더 저렴하다오래된 문법서이긴 하지만 히브리어 성서 공부와 해석에 도움이 된다초보자에게는 어려우며 적어도 게리 프라티코의 책을 마스터하고 히브리어 성서의 독해가 가능한 대학원생에게 비로소 필요한 책이라고 볼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투트가르트 히브리어 성서는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로 영미권에서는 알려져 있고 줄여서 BHS라고 불린다히브리어 성서학 전공자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히브리어 성서이다앞으로는 상황이 조금 바뀔 것 같은데 그 이유는 현재 Biblia Hebraica Quinta(줄여서 BHQ, 위의 이미지는 최근 발간된 사사기서)가 독일 성서 협회의 주관으로 출간되고 있기 때문이다물론 아직 출간이 현재진행형이고 분책(fascicles)으로만 출간되고 있어서 완성된 성서를 접하려면 몇 년 더 걸릴 것 같다.


알프레드 랄프스(Alfred Rahlfs)의 셉투아긴타’(Septuaginta)이. Septuagint(독일에서는 '셉투아긴타'로 영어권에서는 셉투아진트라고 발음함)는 그리스어의 의미로 70이란 뜻이고 히브리어 성서를 헬라어로 재 번역한 70인역 성경을 뜻한다영미권에서는 다소 70인역 성서의 연구가 관심 밖으로 밀려난 상태이나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에 70인역 연구학과가 있다. 그리고 70인역 연구는 독일이나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학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도 활발하다. 현재 랄프스의‘Septuaginta’가 가장 대표적인 70인역 성경입니다헬라어 구약성서 공부를 하려는 전공자에게는 꼭 필요한 성서이다.


대표적인 헬라어 신약성서인 ‘The Greek New Testament With Greek-English Dictionary’이에디터인 알란드(Aland)의 이름을 따서 알란드 헬라어 신약성서라고도 불린다신약성서를 헬라어 원전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꼭 필요한 책이다책 뒤에 헬라어 사전이 포함되어있어서 도움이 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따로 사전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BAGD 혹은 바우어 Lexicon 이라고 불리는 사전(아래의 사진)이 헬라어 신약성서를 해석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대표적인 사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