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도세자의 눈물 ㅣ 파랑새 사과문고 98
이규희 지음, Sunnu(서누) 그림 / 파랑새 / 2024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85.jpg)
책 제목만 봐도 우리 조선시대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비극적인 이야기가 떠오를 수 밖에 없다. 이 책의 저자인 이규희님은 《연꽃등》이 소년중앙문학상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어린 임근의 눈물》, 《왕비의 붉은 치마》, 《왕세자가 돌아온다》, 《독립군이 된 세 친구》, 《독립군이 된 소녀 해주》등 역사동화를 많이 선보였습니다. 그림에 서누(Sunnu)님은 여러 국제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에서 다수 수상하였고 현재 영국 런던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에디토리얼, 어린이 동화책 등 다양한 이야기를 그림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87.jpg)
겉표지가 아닌 안표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을 타고 별로 가고 있는 사도세자를 그려놓고 있습니다. 안표지를 넘기면 나오는 페이지가 이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88.jpg)
이 책에서 별은 사도세자가 쫓는 새 세상을 의미합니다. 책에서 배경그림으로 별이 등장하는 장면을 눈여겨 볼 만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8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91.jpg)
작가의 말에서 이규희 작가님이 말하신 것 처럼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는게 있었으니 그게 사도세자, 뒤주에서 죽어간 뒤주 왕자이야기가 단연코 그러합니다.
사도세자의 어린시절 성장과정을 보면 정서적인 결핍이 상당히 크다고 생각됩니다. 한편 지나친 기대와 당시 정세 형국이 빚어낸 안타까운 부정(父情)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96.jpg)
총명함이 그지없던 선은 점점 아비인 임금앞에서 긴장과 두려움에 가득차자, 분노가 끓어오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1999.jpg)
사도세자의 외로움, 쓸쓸함, 버거움이 그림에서 잘 나타나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2000.jpg)
노론과 소론사이에서의 당쟁, 모함에 희생양이 된 외롭고 미약한 사도세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2001.jpg)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작가의 생각과 느낌이 담겨있습니다.
우리가 이 역사동화 한편으로 역사적인 시대 상황과 사실들을 세세하게 들여다 보긴 힘들지만, 동화 속 주인공의 감정을 공감하기에는 이만한 게 없는 것 같습니다. 노론과 소론, 영조가 왕위를 계승하게 된 역사적인 흐름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충분히 그 시대의 슬픔과 아픔을 공감하고 헤아려 볼 수 있다고 여깁니다. 이러한 안타까운 일들은 비단 과거에 어느 한 시대에 그치지 않는 다는 게 냉정하게 알아야할 것 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708/pimg_761614288435200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