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학다식 문해력 수학 5학년 1단계 - 어떤 문제도 해결하는 사고력 수학 문제집 ㅣ 박학다식 문해력 수학
최수일.문해력수학연구팀 지음 / 비아에듀 / 2023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82.jpg)
OECD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 능력 중 '비판적 문해력'항목에서 4명 중 1명만 정답을 맞혀 거의 꼴찌수준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자주 목격한다고 이 책의 공동 저자중에 문해력수학연구팀은 말한다.
- 질문을 이해하지 못해 수학문제를 풀지 못하는 아이
- 단어의 뜻을 몰라 선생님의 설명을 이해 못하는 아이
- 교과서 읽기를 힘들어하는 아이
수학은 언어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학개념은 모두 글로 표현되어 있다.
최근 수학 문제는 서술형 혹은 문장제로 많이 출제 되고 있다.
⇒ 수학개념을 이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을 읽고 의미 파악할 수 있어야 함.
최수일, 곽찬미, 이정민, 임다원, 조형미
선생님 한분 한분 소개해놓은 점이 진정성이 보이고, 자신감있어 보여 신뢰가 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83.jpg)
사용설명서가 4쪽부터 7쪽까지 나와있다.
이걸 찬찬히 들여다 보고 있을 학생이 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었다. 이걸 찬찬히 읽어보는 학생은 이미 문해력이 어느 정도 있을 친구가 아닐지 하는 쓴미소를 짓게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8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8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8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1.jpg)
내가 공부하고 있는 위치를 확인하는 습관갖기
만화를 보며 해당 학습주제에 대해 상상해보고 이 주제를 '왜'배워야 하는지 생각해보기
30초개념
이전 개념과 지금 개념 그리고 그 다음 어떤 개념으로 연결되는지 확인.
공부팁: 무엇을 묻는 질문인지 이해- 설명하기 소리내어 읽기 - 친구에게 설명- 손으로 직접 써서 정리. ~초등수학의 모든 개념 정복 가능!
개념연결문제
심화문제(도전)
읽을거리로 수학 문해력 기르기
실제 본 내용으로 보자면, 아래와 같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2.jpg)
6단원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에서 17. 다각형의 둘레에 관한 내용이다.
내가 공부하는 위치를 알려주고, 도형캐릭터들의 대화들로 이루어진 만화가 나온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3.jpg)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 한눈에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개념연결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지금 배우는 개념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이전 개념으로 돌아가 다시 확인해보면 되며, 다음 어떤 개념으로 연결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4.jpg)
빨리보다는 정확하게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개념을 질문과 설명의 형식으로 쉽고 자세하게 풀어놨다.
최수일 선생님이 강조하시는 '선생님놀이'가 필요한 순간이다. 설명하기를 소리내어 읽고 선생님이 된 듯이 설명을 해본다. 그 뒤 써서 정리한다. 습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8.jpg)
문제를 많이 푸는 것보다 개념을 묻는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어떤 문제를 만나도 풀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배운 개념을 토대로 꼼꼼히 생각해 보면 개념이 연결되는 문제이기에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19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6/pimg_7616142884180200.jpg)
다양한 분야의 읽을거리들이 나오는게 큰 매력이자 장점이다.
긴 문장을 읽고,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개념을 묻는 문제가 있고,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어휘력과 독해력을 키우면서 지식과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수학개념+읽기능력 모두 잡는 제목대로 박학다식이 될 수 있다.
<< 마더스 카페를 통하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