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한테만 코브라 엄마 ㅣ 바우솔 작은 어린이
서석영 지음, 김일주 그림 / 바우솔 / 2024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07.jpg)
서석영 동화작가님은, 「아홉살 대머리」, 「코끼리 놀이터」, 최근 우리집 아이가 읽은 「토끼가 귀가 길어진 이유」, 「베프전쟁」등이 있다. 초등학교 필독서에 서석영님의 책을 많이 속해 있다. 이번 서평 책 「나한테만 코브라 엄마」 는 바우솔 작은어린이 시리즈 17번째 이야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08.jpg)
표지만 봐도 난 이야기가 짐작이 되고도 남지만, 작가님은 어떤 시점으로 어떤 전개를 어떠한 메세지를 주는지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차례는 위와 같다.
서석영 작가님의 책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볼 때, 어린이들의 편에서 어린이들의 마음의 이야기를 대변해주고 공감해주는 분위기를 통해 어린이의 마음을 들여다 보며 어른들이 부모들이 돌이켜 볼 수 있도록 생각하게만드는 메세지를 많이 풍긴다. 이번 책도 아이들이 겪는 상황속에서 마음 속 이야기와 그들이 바라보고 이해하는 어른들(부모)에 대해서 알 수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09.jpg)
우리 집 형제들과 내가 공터에서 공놀이(또는 축구)를 할 때 나의 얼굴을 떠올려본다. 내가 보지 못한 나의 얼굴, 우리 집 형제들에게 보이는 엄마의 모습을 말이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나'는 작가님이 딱히 이름을 명시하고 있지 않다. 이는 흔히 아이를 키우는 우리집의 우리아이를 대입 시켜봄 직하게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0.jpg)
엄마도 나처럼 아이일때가 있었구나. 엄마의 어린 시절도 나랑 별 다를게 없이 그렇게 놀고도 지치지 않고 또 놀고 싶어하는 걸 보면 주인공 '나'도, 우리집 아이들도 아이들은 다 그렇구나라고 여기길 바란다. 내가 이상하지 않고, 내가 문제가 있는게 아니다라는 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1.jpg)
엄마가 코브라가 되는 이야기가 나온다.
엄마를 코브라고 만드는게 '내'탓이 아니라는 걸. 내탓이 아니라는걸 꼭 알아주길 바란다. 그러나 현실은 아이들은 ,,,
'내 머리가 진짜 나쁜걸까,,, 어떤 문제든 척척 풀면 엄마가 화내지 않고 좋을 텐데..' 이렇게 아이들이 미안해하고 자책한다는 걸 알면 코브라의 독니를 조금 드러내는 일을 자제하지 않을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2.jpg)
엄마인 나의 마음과 이야기를 대변하고 있는 장면으로 공감이라기 보다 부끄럽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3.jpg)
아이가 속으로 하는 말이 팩트다. 저렇게 반성하니 화내지 않으려고 달라지겟지하나 오래가지 못한다는 거. 또 화를 내고 후회하고 미안해하고 다시 다짐하고 반복이지. 엄마인 나도 내가 엄마가 되서 아이에게 이럴 줄은 몰랐다. 우리집 큰애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수학단원 '시각과 시간'하면서 내앞에서 닭똥같은 눈물을 흘리는 걸 본 날 느낀거다. 나도 이 책에서 엄마와 다르지 않았다. 그날 나도 어쩔 수 없는 그렇고 그런 엄마구나 하며 자책하고 반성했다. 그러나 오래가지 못하고, 현재는 닭똥같은 눈물에는 이제 의연하기 까지한 슈퍼코브라 엄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4.jpg)
화해를 청할 땐 받아 주는게 예의라는 말에 마음이 저며왔다. 어른인 엄마보다 훨씬 마음이 넓고 폭신하다.
우리집 아이들도 자고 나면 전날 무슨일이 있었냐는 듯이 아침마다 반겨주는 건, 엄마니까 엄마잖아라는 말밖에 이유가 있을까 싶다. 부끄럽고 미안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5.jpg)
그저 웃음이 나는 포인트다. 코브라 두 마리 그림이 해학적이다.
책에 등장하는 은경이네 엄마, 누가누가 더 무서운 코브란가.
우리 엄마만 그런게 아니구나. 엄마들은 다 코브라로 변신할 수 있는 거구나.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6.jpg)
우리집에도 호루라기를 준비해 볼까?
연필 뒤에 지우개가 아니라 호루라기가 달린게 필요하지 않을까?
나도 예전에 우리집 아이들에게 엄마가 목소리라 높아져가면 손을 번쩍 들어달라고 했는데, 감히 손들 용기조차 없는 건지, 손드는 걸 잊은 건지 꾸준히 실천되지 않고 있다.
할리갈리 할때 종이라도 옆에 두고 나의 감정 조절을 하게 노력을 해보리라 오늘도 결심 해 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04/pimg_761614288417791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