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시작한 사랑은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고, 그러니 어떤 사람도 빈 나무일 수는 없다고, 다만 사람은 잊어버린다고, 다만 잊어버릴 뿐이니 기억해야만 한다고, 거기에 사랑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영원히 사랑할 수 있다고. - P211
주석에는 할아버지가 번역한 프랑스 철학자 루이 라벨의 책에 나오는 구절이라고 적혀 있었다.
육체는 우리 외에는 이 세상에 있는 다른 어떤 누구도 들어갈 수 없는 아주 협소한 영역 안에 우리를 가둬버린다. 그러나 영적 삶은 이와 반대로, 우리를 존재하는 것의 공통적인 첫 시원으로 이끌어간다. 또한 고립은 자신에 대한 애착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타인을 멸시하기에 비극을 초래한다. 하지만 고독은 우리 자신으로부터도 이탈하는 것이다. 이 이탈을 통해 각 존재는 공통의 시원으로 돌아갈 수 있다. - P220
내게 할아버지는 다정다감하고 사랑이 많은 분이었는데, 원래는 그렇지 않았다고 아버지는 회상했다. 수도원을 나오면서 신앙을 버린 탓이었는지 아버지가 어렸을 때는 얼음장처럼 차가운 성격이었다고. 그러다가 내 가 초등학교에 들어갈 무렵부터 성격이 바뀌었다고 했다. 아버지는 손자와 손녀가 태어나면서 할아버지가 달라진 것이라고 추측 했다. 내가 출판사에 편집자로 취직했을 때, 할아버지는 무척 기뻐했다. 모든 것을 직접 체험하면서 이 우주를 인식하기에는 육신의 삶이 너무나 짧기 때문에 인간은 말과 글을 통해서로 협조함으로써 자신을 완성해나갈 시간을 단축해야만 한다는 할아버지의 말에 나는 백 퍼센트 동의했다. 덕분에 책은 우리의 나이 차이를 뛰어넘는 징검다리가 되어주었다. - P222
성리학적 이념으로 숨막히던 그 시절에 알렉산더대왕과 다리우스 3세가 등장하는, 서쪽 끝에 매달린 나라 이야기를 읽으니 따분한 한양 생활에 지친 젊은이들이 얼마나 신이 났게. ‘여아가 항행하여 무화하면 기식우지진부재리오‘라면 리마두의 그 책에 나오는 문장으로, ‘만약 내게 항상 행복만 있고 불행이 없다면 어찌 벗의 참되고 거짓됨을 알 수 있으리오‘라는 뜻인데, 그 몇 년 뒤 신유박해가 일어나면서 이승훈이며 이벽이며 정약용 형제들은 그 문장이 가리키는 바를 온몸으로 절감하게 되지. 추국청에서 고문을 받으며 한때의 벗이었던 그들이 서로를 부인하고 고발하는 중심에 정약용이 있었어. 그때 다산은 삼십오 년 뒤, 그러니까 세상을 떠날 무렵의 자신을 생각할 수 있었을까? 못했겠지. 하지만 유배에서 돌아와 죽음을 앞둘 때의 다산은 분명 삼십오 년 전의 자신을 생각했을 거야. 과거의 우리를 생각할 수 있는데, 왜 미래의 우리는 생각할 수 없을까? - P223
알렉산더대왕이 지위를 얻기 이전에는 나라의 창고가 없었다. 획득한 재물을 모두 사람들에게 후히 나누어주었기 때문이다. (당시 알렉산더대왕에게) 필적할 만한 나라의 왕은 부유하고 융성했으나, 창고를 채우는 데에만 힘썼다. (그가) 알렉산더대왕을 이렇게 비웃었다. "그대의 창고는 어디에 있는가?" 알렉산더대왕이 말했다. "벗의 마음속에 있다." - P225
"바로 그거야. 정신의 삶은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멀어지는 고독의 삶을 뜻하지. 개별성에서 멀어진 뒤에 우리가 발견하는 것은 우리의 정신은 얼마간 서로 겹쳐져 있다는 거야. 시간적으로도 겹쳐지고, 공간적으로도 겹쳐지지. 그렇기 때문에 육체의 삶이 끝나고 난 뒤에도 정신의 삶은 조금 더 지속된다네. 우리가 육체로 팔십 년을 산다면, 정신으로는 과거로 팔십 년, 미래로 팔십 년을 더 살 수 있다네. 그러므로 우리 정신의 삶은 이백사십 년에 걸쳐 이어진다고 말할 수 있지. 이백사십 년을 경험할 수 있다면 누구라도 미래를 낙관할 수밖에 없을 거야." - P231
생각이란 육신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걱정과 슬픔, 의로움과 괴로움으로 이어질 뿐이지만, 그 생각이 사라질 때 비로소 정신의 삶이 시작된다는 것을, 그 정신의 삶은 시간적으로 또 공간적으로 서로 겹쳐지며 영원히 이어진다는 것을. 그럼에도 이 현상의 세계에서 살아가기 위해 나는 매 순간 육신의 삶으로 되돌아가 다시 기뻐하고 슬퍼하고 미워하고 화낼 테지만, 그렇다고 해서 겹쳐진 정신의 삶, 그 기저에 현존하는 사랑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그러므로 나는 노력하기로 했지. 이 삶에 감사하기로. 타인에게 더 다정하기로. 어둠과 빛이 있다면 빛을 선택하기로 - P2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