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죽고 싶음과 살고 싶지 않음을 구분해야 하는 세계. 미라 A는 자신이 죽은 게 아니라 비활성의 삶으로 전환된 것뿐이라고 말 했다. 부러워서 나도 손과 발에 붕대를 감아보았다. 미라 C가 언짢다는 듯 말했다. 화상이라도 입은 것 같아. 미라는 밀랍의 옛말이기도 하다면서요? 넌 아직 살아 있는 인간이구나. 산 인간들은 밤낮 헛소리 아니면 딴소리지. - P41
그를 떠날 수 있을지 모른다. 어차피 편히 디딜 곳 없는 이 땅도 하지만 미래가 남는다. 나는 어떻게 될까.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살 수 있을까. 미래로 향하는 의문문을 멈출 수 없다. 비활성의 삶을 욕 망하는 건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막막함 옆으로 긴 선을 긋는 일이자, 살 수 있을까‘ 하는 절망에 꼬리를 다는 일이다. 미래를 떠나야만 얻을 수 있는 비활성이라면 포기해야 한다. 내가 없는 어딘가로 가는 걸 포기한 것처럼. - P42
늙어버린 약속이 말한다. 종일 유실물처럼 앉아서 아무도 나를 찾지 않는 상상을 해요. 나는 멀리 가고 싶다고 하는 대신 그렇게 대꾸한다. 자신도 모르는 말을 무책임하게 허공으로 던져서는 안 돼. 약속이 나무란다. 유실물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넌 짐작조차 못할 텐데. 내가 대꾸가 없자 늙은 약속이 말투를 누그러뜨린다. 다독인다. "그래도 애써봐. 괜찮은 인간은 애써보는 인간이야." 애쓰고 있다. 나도 모르는 걸 내가 쓰면서 나를 따라가는 일, 나를 훼손하지 않으려는 걸음걸음에. 멀리 가고 싶다. 약속이 갓 태어난 마음처럼 발그레한 세계로. - P47
"엄마, 아 쫌!"은 전 세계 딸들의 공통어가 아닐까. 오늘만 해도 벌써 세 번 썼다. 엄마, 밥 많아. 하지 말아요. 하지 마시라니깐. 쌀은 왜 꺼내요. 엄마, 아 쫌! 못 이긴다. 기어코 밥을 해서 냉동실에 쌓으면서 엄마가 그런다. 다음에 와서 검사할 거야, 다 먹었나. 웃음이 터진다. 나를 낳은 사람은 자기가 원하는 만큼만 내가 자라길 바라는 것 같다. 나는 죽을 때까지 엄마한텐 애지? 나 죽을 때까지 아님 너 죽을 때까지? 핵심은 애냐 아니냐 거든요. 나 죽고 너 죽고 나서도 애지. 죽음도 이기는 연이고 밥이니 세긴 세다. "아 쫌!" 해봤자. - P54
타인이 내게 궁금해하지 않은 것들을 나는 내게 궁금해하고 대답하며 산다. 그 문답이 쌓여서 나의 감각과 태도가 될 것이다. 내가 나의 타인이다. 그렇다, 라고 다짐하면 어쩐지 당장 무엇과도 사랑에 빠질 수 있을 것 같은데 늘 다행스레 혼자다. 혼자일 때만 나는 수월하게 사람인 것 같다. - P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