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오후 무렵이면, 거무스레한 담벼락이 서쪽으로 기우는 황금빛 햇살을 받아 그림자를 길게 드리우고, 골목마다 아이들이 소리를 지르며 뛰놀 때였다.
불과 하루 전, 그러니까 어제 보았던 사율라의 초저녁 풍경은 그것만이 아니었다. 아이들이 왁자지껄 떠들며 뛰노는 동안, 대낮의 햇살을 뿌리치듯 날개를 파닥이는 비둘기 떼가 파란 지붕들 위로 옮겨 다니는 모습도 눈에 익은 정경이었다. - P19

그 여자가 다시 나에게 인사했다. 그때서야 나는 뛰노는 아이들과 비둘기 때와 파란 지붕을 보지는 못했지만 마을이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귀에 들리는 것은 정적뿐이었는데, 이는 내가 아직 그런 분위기에 익숙하지 못한 탓이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내 머릿속이 이미 세상의 소음으로 가득 차 있는 탓일지도 몰랐다. - P21

"거기선 내 말이 더 잘 들릴 거다. 얘야, 이 어미는 언제나 네 곁에 있을 게다. 나중에 내가 세상을 떠나면, 그때는 너도 알게 되겠지. 죽은 어미의 말보다 어미가 간직하고 있는 추억의 소리가 훨씬 더 잘 들린다는 것을." - P21

문이 없었다. 우리가 들어왔던 통로가 방문이었다. 그 여인이 초에 불을 붙이자, 텅 빈 공간이 보였다.
- 여긴 잠을 청할 만한 곳이 아니군요.
- 걱정 마요. 졸음이 가장 좋은 침대가 아니겠어요? 먼 길을 오느라 고단했을 테니 오늘은 여기서 눈을 붙이도록 해요. 침대는 내일 들여놓을 테니까. 젊은이가 이해해요. 혼자 사는 늙은이가 이것저것 챙기는 게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모친이 조금만 더 빨리 알려줬어도 이렇지는 않았을 거예요. - P23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낙숫물로 모래 마당에 물구멍이 나게 만들고, 돌담 사이에 낀 월계수 이파리를 부르르 떨게 만들던 사나운 비바람이 물러간 뒤끝이다. 간간이 이는 바람에 석류나무 가지에 달려 있던 물방울이 허공에 빛을 발하며 흩어지는데, 마당에는 여태껏 구석에 틀어박혀 졸고 있던 암탉들이 몰려나와 꿈틀거리는 지렁이를 쪼아댄다. 그사이 비구름 사이로 얼굴을 내민 오색찬란한 햇살은 소담스러운 돌멩이 위에 내려앉아 물기를 빨아올리는가 하면, 산들바람에 나풀대는 나무 이파리에 가만히 다가가 살랑인다. - P25

‘너를 생각하고 있어, 수사나. 그 푸른 언덕을. 바람이 이는 계절이었지. 우리가 마을에서 올라오는 생생한 소리들을 듣고 있을 때, 바람이 연출을 끌어가고 있었지. 수사나, 도와줘!" 연출을 잡은 손에 겹쳐지던 부드러운 손. "실을 더 풀어!" 그 바람은 우리를 웃게 만들었지. 그 바람에 손가락 사이로 풀려나가던 연줄이 마치 날아가던 새의 날개에 걸려 부러지기라도 한 것처럼 툭 소리를 내며 끊어질 때까지, 우리의 눈길은 하나로 모아졌지. 헝클어진 연줄을 매단 종이 새가 허공에서 빙빙 돌다 떨어져 초록 들판으로 사라질 때까지.
너의 입술은 촉촉이 젖어 있었어, 수사나. 마치 이슬에 젖은 듯한 그 입술······.‘ - P26

‘저 하늘, 저 구름 위에, 아니 그보다 훨씬 더 높은 곳에 너는 숨어 있어, 수사나. 하느님의 거대한 공간에, 당신의 섭리 뒤에, 결코 내가 도달할 수 없는 곳에, 내가 찾을 수 없는 곳에 너는 숨어 있어. 나의 간절한 소망이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곳에······.‘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