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칠세기 중엽에 플랑드르의 화가 안토니 반 다이크(Anthony van Dyck)는 이탈리아의 항구 도시 제노바에서 시칠리아의 수도 팔레르모로 이주했는데, 도착했을 때는 마침 그 도시가 다시 발생한 역병의 희생자로 전락하고 있던 참이었다. 섬세하고 세련된 취향에도 불구하고, 반 다이크는 남아서 공포를 자신의 주제로 삼았다. 많은 예술가에게 죽음의 광경은 통과 의례이자 인간 생명의 치명적 취약성에 대한 맹렬한 교육이며 영혼의 덧없는 일시성을 들여다보는 창문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죽음은 상이었다. 죽음은 니콜라 푸생의 풍경과 오귀스트 로댕의 인물들 뒤에 있다. 죽음은 단테와 베케트 안에 있다. 하지만 아마 카라바조보다 더 흑사병의 심리적 영향을 교묘하게 휘두르며 그처럼 유익하고 창의적으로, 또 그처럼 집요하게 사용한 예술가도 달리 없을 것이다.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이 가진 힘은 다윗이 일시적인 승리와는 무관하게 자신이 그 죽음을 뒤따를 것을 안다는 사실에서 얼마간 기인한다. - P128
나는 시에나에서 아직 뭐라 표현할 말은 없으나 지금껏 찾고 있던 무언가를 발견했다. 잘 공명될 시점에 그것이 당도하기도 했다. […] 내가 시에나에, 너무도 단호히 시작되고 끝나는 이 도시에 온 것이 그런 때였다. 나는 매일 도시의 경계까지 걸었다. 북으로, 남으로, 동으로, 서로. 나 자신의 한계를 더듬는 듯이 느껴질 때가 많았다. 시에나는 너무 다채로우면서도 한결같고 너무 작으면서도 무진장해서 끝이 없을 것만 같았다. 그것은 하나의 알레고리 또는 마음의 상태였을 뿐만 아니라, 스쳐가는 모든 영향력과 펼쳐지는 모든 날과 더불어 변화하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대상이기에, 소박하고 특별하지만 결코 완전히 알 수는 없는, 도시로서의 자아였다. - P132
하루하루가 지나면서, 나는 한 발자국씩 불에 다가가고 있는 듯한 기분을 느꼈다. 불은 따뜻하고 유쾌했지만, 어째선지 나는 알고 있었다. 불은 나를 소멸시킬 수 있었다. 나는 침묵의 나날 속에서 어쩌면 그것이 불의 진정한 욕망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 P134
나는 위에 걸린 그림을 보고 있었다. 연마한 스테인리스 스틸에 기타를 연주하는 여성을 실크스크린으로 찍은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Michelangelo Pisto-letto)의 판화 <터키식 목욕탕>이었다. 여성은 등을 돌린 채 앉아 있다. 피부는 따스한 색조로 채색됐다. 엉덩이 위쪽에 두 군데 오목하게 팬 자국이 기분 좋게 에로틱하다. 형태를 보아서는 고대의 유물인 듯하지만, 여자는 살아 있는 사람이다. 왼쪽 허벅지를 보면, 자주 빨지 않아서인지 누르스름해진 흰색 스타킹을 신고 있는데, 그 부분이 유일하게 무언가를 걸치고 있는 부위다. 보이지 않는 손가락으로 알 수 없는 화음을 연주하며 기타의 목을 짚은 손과 손목을 제외하면, 여자는 어느 시대 사람인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 P140
나는 무엇이 여자의 손과 손목을 동시대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걸까 의문을 품었다. 제 음악의 효과에 자신이 없거나 아니면 누가 들을까 싶어 걱정하기 때문인지, 여자는 고개를 다른 쪽으로 돌리고 있다. 왼쪽 가슴은 기타 뒷면에 눌렸다. 이제 막 연주를 시작하는 참이라는 걸 의미하는 듯한 등의 곡선을 헤아리며, 나는 윤을 낸 그 나무판이 처음엔 차갑게 느껴졌을지, 아니면 지금도 여전히 그럴지 궁금했다. - P142
"아, 하지만 내 일생을 세 마디로 정리할 수는 없어. 너무 길어. 적당히 꾸며내야 해. 난 꾸며낸 삶을 정말 좋아하거든." " 저도 그래요." "내 개들은 어때?" 그이가 로시나를 쳐다보면서 말했다. "개는 우리가 늙어 간다는 걸 모르니까, 멋지지. 우리가 흉해지고 있다는 걸 모르는 거야. 개는 우리가 세상에서 가장 좋은 존재라고 생각해." - P143
죽은 자들에게 살아 있는 자들을 기억한다는 건, 영혼이 육체였을 때 알았던 이들을 여전히 알아볼 수 있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나는 궁금했다. 성인 같은 이들은 천사들의 영접을 받는다. 그들은 재회조차 성직자답다. 그러고는 시에나 공동묘지에 함께 묻힌 부부들 같은, 손을 맞잡고 서로의 눈을 바라보는 남자들 과 여자들이 있다. 사랑해 마지않는 이의 손을 맞잡고 그저 그 눈을 오랫동안, 아니 아마도 영원히 바라보는 것, 그것이야말로 존재의 방법이라고 나는 혼자 생각했 다. - P154
하단 오른 쪽에 있는 쌍만이 제삼의 인물, 더 나이 든 인물을 만류하는 듯한 젊은 수녀를 동반하고 있다. 젊은 수녀는 다가오는 수도사와 인사하지 못하도록 제지하려는 듯이 더 나이 든 자신을 팔로 감싸고 있다. 이들이 멀리서만 사랑할 수 있었던 연인, 엘로이즈와 아벨라르일 수도 있을까? […] 나는 디 파올로가 그들의 편지를 읽었고, 편지 쓰기를 ‘질병‘이라 주장하며 편지를 쓰지 말라고 요 구했던 아벨라르의 절박한 탄원을 알고 있었으리라 확신했다. 반면에 엘로이즈는 관습에 대한 위반을 신경쓰지 않았다. 그보다는 나타남과 사라짐에 관심을 가졌다. 엘로이즈는 아벨라르에게 편지를 썼다. 우리는 사랑하는 이들이 가까이 있을 때보다 아주 멀리 있을 때 그들의 그림을 더 아낍니다. 부재하는 친구들의 초상화를 보는 것이 즐겁다면 (…) 편지는 얼마나 더 즐겁겠나요." 그리고 그에게 요구할 때, 그녀는 놀랄 정도로 탐욕스럽다. "당신에 관한 모든 걸 낱낱이 알려 주세요." - P154
여기서 디 파올로는 진정한 지옥이란 불의 지옥이 아니라 우리와 가장 가까웠던 이들에게 알아봐지지 못하는 지옥이라 생각 하는 듯하다. 우리는 그들에게 보이기를, 그로 인해 우리 기억의 힘을 재발견하고, 마침내는 의도와 표현 사이, 감추어진 감정과 그 외적 형태 사이에 놓인 위안을 발견하기를 원한다. 그 그림은 이걸 안다. 그 그림은 우리가 제일 바라는 것, 낙원보다 더 바라는 것이 알아봐지는 것임을 안다. - P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