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에 올라오면 빵빵대는 도로 위의 소음과 유흥가의 음악, 와글대는 사람 소리를 모두 멀찍이 발 아래에다 둘 수 있었다. 겨우 살아 남았다는 안도감에 섞인 피로, 마음처럼 능숙하지 않아 쉬이 엉겨 붙던 서글픔을 밀쳐 내려고 버둥대던 날들이었다. 소음을 딛고 저녁 신촌 하늘을 올려다보며 ‘여기가 서울이구나‘ 하던 감탄 어린 탄식은 점차 고단한 푸념으로 바뀌어갔다. - P107
마포 08번의 모든 정류소는 곧 나의 목적지였다. 그 버스를 타고 많은 생각을 했고 여러 장소에 갔다. 많은 사람을 만났고 혼자이기를 자처했다. 그곳에서 조용히 울기도 했고, 어느 날은 노선을 다 돌도록 내리지 않았다. 마포 08번 정류소가 내려다보이던 어느 2층 카페 창가 자리를 그 카페가 사라지기 전까지 무척 좋아했었다. 상심이 큰 날엔 그 2층 창가 아래에 잠깐 서 있다 떠나는 마포 08번을 수십 대나 바라보고 있기도 했다. 참 아무렇고 이상한 위로였다. 그렇게 마포 08번은 어디론가 가고 싶지만 어디를 가면 좋을지 몰라 혼자 방황하던 나의 동선을 사소한 관성으로 이끌었다. 정처 없이 흩어지는 발걸음을 마포 08번 이 자신의 반경 속으로 동그랗게 끌어당겼다. 이 버스를 타고 어디로든 갈 수 있다 생각하면,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다는 마음이 절반쯤 쓸쓸하지 않았다. - P124
버스로 10분, 걸으면 30분 정도 걸릴 거리를 매일 빙빙 둘러 걷느라 집에 가는 데 한 시간 이상씩 걸렸다. 퇴근 후 약속 없이도 이곳저곳 기웃거리는 게 좋았다. 마음 에 드는 카페에서 차 한 잔을 마시며 숨통을 틔우고, 턱 없이 부족하다 느껴지는 나의 능력과 쓸모를 의심하던 마음이 조금이나마 밝아질 때까지 걷고 또 걸었다. 너무 많은 생각에 다시 어두워질지언정 감정을 들여다보는 일은 내게 꼭 필요한 일과였다. 응어리진 마음으로 곧장 집에 가기에는 내 방이 너무 성냥갑처럼 작았으니까. 쉴 틈도 없이 곧장 그 작은 방에 가고 싶진 않았다. - P125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내 방의 짐들을 조금 우려스럽게 만 생각했지 ‘그래도 이 정도면 옮길 만하다‘고 여겼다. 하지만 짐을 건드려보니 가볍게 생각할 게 아니었다. 그 당시 나는 버는 족족 책과 잡지를 사 보고 있었다. 사 모으고 있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방에 그것들이 엄청나게 쌓여 있었으니까. 내가 책과 잡지를 사 모으는 이유는 복합적이었다. 갈망, 동경, 불안, 불만족 같은 감정의 복합체. 그 감정들은 전부 조바심을 향하고 있었다. - P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