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의 가축화와 작물화는 곧 훨씬 더 많은 식량과 조밀한 인구를 의미했다. 그 결과 잉여 식량이 생겼고 또한 일부 지역에 서는 동물을 이용하여 그와 같은 잉여 식량을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이 생겨났다. 그 두 가지는 정치적으로 중앙집권화되고 사회적으로 계층화되고 경제적으로 복잡하고 기술적으로 혁신적인 정주형 사회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선행 조건이었다. 그러므로 가축화•작물화된 동식물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는, 유라시아에서 제국, 문자, 쇠 무기 등이 제일 먼저 발달했고 다른 대륙에서는 그보다 늦어지거나 끝까지 발달하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해주는 궁극적 원인이 된다. 말과 낙타의 군사적 쓰임새와 동물에게서 얻은 병원균의 살상력을 마지막으로, 우리가 앞으로 자세히 살펴보게 될 식량 생산과 정복 사이의 여러 연관성들이 모두 드러났다. - P127

이러한 전환의 과정이 그렇게 천천히 진행되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식량 생산 체계 자체가 시간과 노력을 할당하는 데 대한 수많은 결정들이 하나씩 누적되면서 발전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먹이를 찾는 동물이 그렇듯이 인간이 먹을거리를 찾는 데도 시간과 에너지는 제한되어 있고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가령 초기 농경민은 어느 날 잠에서 깨어나 이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오늘은 채소밭을 일굴까(몇 개월 후에는 많은 채소를 수확할 수 있을 텐데), 조개를 캘까(오늘 당장 약간의 조갯살을 먹을 수 있을 텐데), 아니면 사슴을 사냥할까(잘하면 오늘 당장 많은 양의 고기를 얻을 수도 있겠지만 한 마리도 못 잡을 가능성이 더 많은데)? - P173

이상의 네 가지 요인을 종합해보면 왜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식량 생산이 B.C. 18500년이나 B.C. 28500년이 아니라 B.C. 8500년경에 시작 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앞의 두 시기에는 아직 수렵 채집 쪽이 초기 단계의 식량 생산보다 훨씬 더 보상이 컸던 것이다. 왜냐하면 그때까지는 야생 포유류는 풍부했던 것에 비해 야생 곡류는 풍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은 곡류를 채집, 가공, 저장하는데 필요한 발명품들 을 만들어내지 못했고 단위면적당 더 많은 열량을 수확하는 일에 중점을 둘 만큼 인구밀도가 높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 P180

식물이 동물을 유인하는 한 예로서 야생 딸기의 경우를 보자. 딸기씨가 여물지 않아서 아직 땅에 심길 준비가 되지 않았을 때는 종자를 둘러 싸고 있는 과육 또한 파랗고 시고 단단하다. 그러다가 씨가 다 익으면 과 육도 빨갛고 달고 연해진다. 이렇게 딸기의 색깔이 변하는 것은 결국 개똥지빠귀 같은 새들이 그 딸기를 따 먹고 날아가서 종자를 뱉어내거나 배설하도록 유인하는 신호인 것이다. - P186

최근에 와서 기름을 얻기 위해 목화를 개량했지만 물론 그전에는 직물을 짜기 위한 섬유를 기준으로 목화를 선택했다. 그 섬유(생솜)는 원래 목화씨에 붙은 털이었다. 남북아메리카와 구대륙의 초기 농경민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른 종의 목화에서 긴 생솜을 선택했다. 아마와 대마도 직물을 짜기 위해서 재배했는데, 섬유가 줄기에서 나왔으므로 이 경우에는 길고 곧은 줄기를 가진 개체가 선택되었다. 대부분의 농작물은 식량을 얻기 위해 재배되었을 것이다. 그 가운데 아마는 가장 오래된 농작물 중의 하나다(B.C. 7000년경 이전에 작물화되었음). 산업혁명 이후 목화와 합성섬유로 대체될 때까지 아마는 리넨을 짜는 유럽의 주된 섬유식물이었다. - P191

가축화된 동물이란 인간이 번식과 먹이 공급을 통제하는 동물, 즉 감금 상태에서 인간의 용도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번식시켜 야생 조상으로부터 변화시킨 동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P248

가축화된 동물이 그 야생 조상으로부터 분기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크기가 달라진 종들이 많다. 소, 돼지, 양 등은 가축화 과정에서 더 작아졌으며 기니피그는 더 커졌다. 양이나 알파카의 경우에는 속털wool 은 보존하되 뻣뻣한 겉털hair은 줄이거나 없애는 방향으로 선택되었고 소는 젖의 양을 늘리는 방향으로 선택되었다. 가축화된 동물들은 더러 두뇌가 작아지고 감각기관이 덜 발달되기도 했다. 야생 포식자들로부터 도망쳐야 했던 조상들과는 달리 큰 두뇌나 발달된 감각기관이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