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 붉게 피던 집
송시우 지음 / 시공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렴풋이 떠오르는 희미한 기억 속의 그때, 다세대 주택이란 이름의 지붕 아래 많은 사람들이 살았다.
지금 생각해보면 한 집을 나눠쓰는 모양새로, 방 하나에 한 가정씩 여러 세대가 살았다. 말 그대로 한데 모였지만 따로 또 같이, 그렇게 어울려 가족처럼 살았다.

가난했지만, 나만 가난한게 아니었고 다들 가난했다. 그 시절은 그랬다. 그렇기 때문에 그때의 가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게 부끄럽지 않다. 오히려 가난했기에 펼쳐졌던 일상과 삶이 이제와서는 추억의 이야깃거리가 되는 것이다. 괜스레 그때가, 예전이, 재밌었던 것 같다. 복작복작 요란스럽게 살던 시절이 더없이 그리운 것만 같다. 다같이 부업을 하고, 아침 일찍 재래식 화장실을 쓰는 것에 신경전을 벌이고, 연탄을 갈고, 컬러 텔레비전 앞에 모여 앉아 드라마를 시청하고......

왜 불편하지 않았을까. 왜 이러한 형편에서 벗어나고 싶지 않았을까. 좋아서 그렇게 살던 게 아니었다. 사정에 맞춰서 살다보니 그렇게 된 것 뿐이다.
물론 실제로 좋았던 날들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안 좋은 기억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불을 꺼둔 채로 가급적 켜지 않게 된다. 켜지 않고 어둠으로 감춰둔 채로 과거는 추억이란 이름으로 미화된다. 정화의 과정을 거쳐서. 심지어는 도저히 들춰낼 수 없을 만치 겹겹이 겹쳐져 포장된다. 무엇이 진짜의 기억이고, 무엇이 가공되었는지 분간이 안 될 정도로.

잔인하지만 사람은 일부든, 전체든 어느 정도는 조작된 기억을 가지고 있을때 비로소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실을 궁금해하고, 알아가고 끝내는 모든 것을 알게 된 순간, 행복했다고 생각했던 기억은 저만치로 밀려나는 것이 아닐까.

개인차는 있겠지만 누군가는 후련할 것이고, 누군가는후회할 것이다. 누군가는 씁쓸할 것이고, 누군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게 되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수빈은, 우돌은, 순자는, 어땠을까.
그들 감정의 변화를 가늠해본다. 어떤 마음이 되었는지, 그 깊이와 폭을 그려본다. 쉽지 않은 일이다.

나는 이 소설을 기억을 다룬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소중하고 철없는 나의 기억, 당신의 아픈 기억, 우리가 즐거웠거나 혹은 영영 떠올리고 싶지 않았던 기억...... 모두가 켜켜이 쌓아올린 기억의 무더기들,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