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조절구역
츠츠이 야스타카 지음, 장점숙 옮김 / 북스토리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인구 조절 구역>.....읽으면서도 적응하기 힘든 주제였기에 읽는 내내 어서 마지막 페이지를 덮기를 바라고 바랐던 책이었습니다. 한번 잡은 책은 왠만하면 다 읽는다는 게 저의 신조라 읽다가 포기했던 책을 다시 들었지요. 읽는 내내 불편했던 마음이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서 조금은 안도의 한숨을 짓습니다. 하지만 이런 소견도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이니 직접 읽어보고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이 작가의 이름을 어디서 들었지 했더니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작가였습니다. 참 낯익은 이름이다 했거든요.

 

요즘 고령화 사회로 노인문제가 참 심각합니다. 의료발달과 생활 환경이 개선되다 보니 예전보다 수명이 길어지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노후대책을 준비하셨던분들이라면 실버타운을 간다거나 자신의 인생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지만 경제력이 없는 노인 분들은 딱히 갈 데가 마땅치 않아 공원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도 많이들 보았을 겁니다. 며느리 눈치 보여서 하루종일 집에 있기 불편해서 나오신 분들이 있는가 하면 혼자 사시면서 외로워 나오신 분들도 있으시지요.

그러다 극단의 선택을 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종종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지요. 아마 그래서 이 책이 쓰여졌나 봅니다.

 

이 책의 원래 제목은 <은령의 말로> 입니다. 은령이라는 말이 '눈에 덮여 은빛으로 빛나는 산꼭대기'라는 말로 하얗게 센 머리털을 빗대어 표현한 말이라서 나이가 드신 노인 분들을 지칭해서 쓰는 말이라네요.

일본 정부가 급격히 늘어난 노인들의 인구를 조절하고자 지정된 지구 내에서 70세 이상의 노인들끼리 서로 죽여 한 사람만 남게 하는 실버 베틀을 시행합니다. 끔찍한 베틀이 아닐 수가 없죠? 혹여나 마지막에 두 명이 살아남게 되면 두 명 모두 처형된다는 규칙으로 베틀이 시작됩니다. 결국 다 죽이겠다는 건가요? "여러분~서로 죽여주십시오" 라는 시작의 말과 함께 서로를 죽이고 죽는 말도 안되는 일들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냥 소설이니 편하게 읽자~읽자 다짐하지만 자꾸 몰입해져서 불편해지는 심기를 감출 수 없습니다. 근데 왜 계속 읽냐고 반문하신 분들이 있을지 모릅니다. 먼저는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에 대한 문제를 극단적으로 그리긴 했지만 우리의 당면과제이기에 그냥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첫번째였습니다. 두번째는 역시 일본소설이라 직접적이고 생생한 표현들이 나와서 눈쌀이 찌뿌려지긴 했지만 몰입도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죽고 죽이는 베틀의 스토리는 적응이 안돼더라구요.

 

노인이라고 불리우는 그 순간부터 죄가 되는 세상이 이 책의 세상입니다. 우리나라의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은 이 책에서는 대역죄에 해당하는 말과 동급입니다. 심지어 누가 죽으면 중계 하듯이 시신을 확인하고 많이 죽이는 사람에게 격려를 하는 웃지 못할 풍경들이 펼쳐지지요.

하지만 지금 노인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게 하는 책이지 싶습니다. 스토리는 정말 황당하여 입을 다물 수 없었지만 극단적인 방법으로 심각한 고령화 사회를 꼬집어 놓아서 마음에 확 와닿을 겁니다. 앞으로는 초고령화 사회가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하죠? 그렇다면 더 심각해질 노인 분들의 문제에 대한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