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이 말했다 - 2021 볼로냐 라가치상 코믹스 영어덜트 부문 대상 수상작 스토리잉크 1
제레미 모로 지음, 이나무 옮김 / 웅진주니어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길고, 커다랗고, 어려운 질문을 하는 그래픽노블을 접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다. 처음에는 쉬운 만화일까 싶어서 책장을 넘기다가 다시 돌아가고 돌아가고 반복해서 여러 번 보았다. 그렇게 봐도, 어떤 질문을 하는 건지 생각보다 답하기가 어렵게 느껴졌다.

왜냐하면, 죽음을 계속 말하고 있어서다. 여러 동물들의 만남과, 이동과, 탐구 속에 누군가의 죽음이 연결되어 있었다. 가족이기도 했고, 때로는 내가 공격했지만 친구처럼 죽는 순간까지 함께 한 친구이기도 했고, 나를 외롭게 만든 누군가이기도 했다. 그런 이들의 죽음을 옆에서 겪는 동물들의 이야기다.

내가 가장 마음 아프게 읽었던 이야기는 물소의 죽음이었다. 맨 처음에 등장한 코모도왕도마뱀이 물소 다리를 물었다. 물소는 도마뱀에게 왜 자기를 물었냐고 말하면서 섬을 구하는 중이라고 한다. 섬을 향해 쏟아지고 있는 혜성을 피하기 위해서 섬을 밀고 있다고 말이다. 도마뱀은 물소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하고, 둘은 물소가 죽는 순간까지 함께 섬을 밀어 나간다. 결국 힘이 빠진 둘은 산 꼭대기에서 혜성이 쏟아지는 것을 바라본다.

그러니까 내가 지난 몇 해 동안 섬을 몇 킬로미터나 밀어서 여기까지 왔는데……. 오히려 혜성이 떨어지는 바로 그 지점으로 왔다는 건가?

혜성이 섬에 도달했는지, 정확히 모르겠다. 다만 마지막에는 물소가 죽었고, 도마뱀은 독수리나 다른 동물들이 물소를 먹지 못하도록 땅 속에 묻는다. 그리고 아무도 먹을 수 없다고 눈물 흘리며 소리친다.



땅속에 머리를 묻고 아무것도 보지 못하다가, 다시 고개를 세상에 내민 타조, 제비를 따라 바다를 건너, 황금빛 대륙으로 떠나는 찌르레기, 죽음을 맞는 할아버지 코끼리와 함께 사막을 건너는 아기 코끼리, 엄마의 임종을 지켜보는 원숭이, 그리고 물소의 무덤을 발견한 현자 표범. 정말 많은 동물들이 등장해서 삶과, 죽음, 헤어짐, 깨달음 같은 것들을 이야기 한다.

조금 낯설지만 동물들이 말하는 삶에 대한 이야기는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마지막 표범 현자의 말이 인상 깊다.

죽음은 단순히 상태의 변화일 뿐입니다. 구성과 해체, 태어나고, 죽습니다. 더도 덜도 없습니다. 눈물도, 드라마도 필요 없습니다. 여러분께 바랍니다. 가볍게 살아갑시다. 죽음을 탄생 만큼이나 순수한 사건이 되게 합시다. 소피아가 말했다.

이렇게 죽음을 받아들이게 될까? 잘 모르겠다. 죽음이 순수한 사건이 되게 하는 것은 인간에게 가장 어려운 것일지도 모르겠다. 도리어 먹고 먹히는 것이 삶에 깊이 들어와 있는 동물과 다르게, 인지하지 못한 사이에 누군가에게 짓눌리고, 죽임을 당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아닐까?

그래픽노블이지만, 깊은 철학이라 다 읽고도 덮는 것이 망설여졌다. 이제, 죽음에 대해서 조금 더 고민해 봐야겠다. 나에게 죽음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나의 주변 사람에 대한 죽음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지 그것도 말이다. 마지막 죽은 엄마 원숭이를 안고 가는 아기 원숭이처럼 누군가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