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우 제삿날 ㅣ 학고재 대대손손 8
한미경 글, 이지선 그림 / 학고재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제사 음식을 준비할 때는 항상 좋은 것들만 준비하는데요
어릴적엔 장에 따라 다니면서 하나하나 값을 따지고 보기에 크고 좋은 것만을 골라서 준비했었죠..
제사음식은 이렇게 좋은 것만 올리고 신경을 써야 하는구나 생각했는데..
그것이 다 조상들에 대한 예의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자손들이 복 받는다 하셨던 말씀이 기억이 나네요..
예전에 비해 점점 형식과 격식이 간소화 되다보니
오늘날은 음식을 놓는 순서와 날짜만 기억하게 되는데요..
앞으로는 그 형식과 격식마저도 잊혀지는 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네요.

여우골에 사는 백년묵은 여우는 콧대를 세우며 잘난 체를 해서
친구 하나 없이 외롭게 지내죠.
언제부터인가 몸이 으슬으슬 춥고 떨려서 산신령을 찾게 가게 되요.

정성껏 제사를 드리면 괜찮아진다는 말에 제사를 지내는 집에 가 보게 되지만
메케한 향만 맡고 오게 되고 쉬운 방법을 알려 달라고 하죠.
또 제사를 지내는 것을 본 여우는 아낙으로 변해 훔친 음식으로 제사를 지내게 되요.

몸은 나아지지 않자 또 산신령을 찾아간 여우는
‘정성’이란 모양새를 똑같이 따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을 듣고 더 쉬운 방법을 알려달라고 해요.
아이는 여우가 게으름뱅이라고 하네요.
스스로 하지 않고 쉬운 것만 알려달라고 하니 말이죠.

가난한 효돌이네 집에서는 팥껍질을 까서 떡고물로 시루떡을 쪄내 제사를 지내네요..
그 때 호랑이가 나타나 아기를 물고 나가려 하자 여우는 아기를 구하고
대신 호랑이에게 물려 잠에 빠지고 말게 되요.

할아버지 제사를 지낼 때 이번에는 더욱 '정성'을 들여야 겠다고 말했더니
자기가 함께 엄마를 돕겠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의 전통의식인 제사에 대해 아이와 함께 좀더 재미있게 보게 된 책이에요.
더불어 ‘정성’이 깃든 음식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