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세 아빠 육아가 아이 미래를 결정한다
리처드 플레처 지음, 김양미 옮김 / 글담출판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세 살 전의 아빠 자극이 자녀의 두뇌를 바꾼다는 글귀가 요즘 내게 무척이나 와 닿는다.

큰아이를 키울 당시에만 해도 아이 아빠의 존재가 크지 않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이가 점점 자라고 아빠의 존재를 느끼면서 아빠를 찾기 시작하면서

그리고 둘째 아이가 아빠한테 하는 행동을 보면서 엄마에게는 없는 아빠의 흔적을 나 역시도 발견하게 된다.

우리 아이들은 아빠의 직업적인 특성으로 아빠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터무니없이 적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좀더 효율적인 시간을 보낼 수 있을까 생각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빠와의 유대감과 아빠 역할’에 대해 쓰고 있지만... 무엇보다 ‘엄마 육아’에 좀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빠와의 관계에서 오는 정서적인 발달과 사회성 그리고 두뇌 발달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엄마의 말과 행동이 아이와 아빠의 부드러운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부분을 좀더 중요하게 서술하고 있다.

가정살림과 육아는 오로지 아내 몫으로만 하지 않고 적절한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얘기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아내라면 모두 공감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또한 육아법에 있어서 엄마와 아빠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엄마에게서 느낄 수 없는 논리적이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요소를 좀더 강조하고 인정하기를 바란다.

결국.. 엄마의 감성적인 부분과 아빠의 논리적인 부분이 상호 작용하여 아이의 두뇌에 고루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아빠와 엄마의 이런 차이는 ‘좋은 아빠 자가 테스트’를 직접 해 보니 결과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내가 생각하는 아빠의 점수는 51점이였던 반면, 남편의 직접 점수를 매겨보니 65점으로 10점 이상이나 차이가 났다.

결국.. 이것은 남자와 여자의 성격적인 부분도 있고 생각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이다.

놀이에 있어서도 아이들이 잠들기 전에 혼자서 두 아이에게 이불 썰매를 태워주는데 무게감도 있고 지쳐서 잠깐 해 준 적이 있었는데 큰아이가 처음에는 깔깔대며 웃다가 갑자기 대성통곡을 하며 ‘아빠가 해 주는 것처럼 안 하고 재미도 없고 심심해서 속상하다’며 울어 버렸다. 이처럼 아이들이 아빠와 엄마의 놀이 차이를 느끼는 것을 보고 아빠와의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엄마 육아법이 옳다고 주장하기 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조율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