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재테크 - 자녀교육과 노후대비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
김진석.변문경 지음 / 다빈치books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살 된 아들과 22개월 딸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출산비용 및 육아용품에 그다지 비중을 두고 있지 않았고,

두 아이에게 주위에서 물려 입히거나 저렴한 벼룩장터 등을 이용하는 편이라 아이들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적은 편이다.

자녀 교육이나 자녀에게 들어가는 일정 부분에 있어 우리 부부는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유명 브랜드의 필요성이나 유행의 흐름을 타지 않는 편인 것도 한 몫 하는 것 같다.

 

 

다른 무엇보다 유독 교육문제에 대해서는 우리 부부가 가끔은 서로 예민해지기도 한다.

아이들이 어려서 그런지 나보다 남편은 아이들의 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민감하지 않은 편이다.

내 아이가 공부를 잘 했으면 하는 바램 그리고 뒤쳐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은 있지만

그렇다고 그런 과정으로 사교육을 해야겠다는 확신도 잘 서지 않는다.

아이들의 창의력을 위해 뭔가를 해 줘야 하나 싶다가도 비용을 생각하게 되면 이내 그런 생각도 사그라든다.

 

 

요즘은 자기주도학습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것이 성공하려면 아이가 꿈이 있어야 하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한 나만의 계획이 세워져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기 위해서 아이 스스로의 선택과 결정권이 주어져야 하지 않을까? 한다.

그리고 그 결정에 대한 조언과 격려가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이로 미루어볼 때 자녀에 대한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먼 미래를 가지고 여유로움을 가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교육의 존재로 인해 나의 교육관이 흔들릴때도 많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길러주기 위해 여러가지 교육들을 어릴 때부터 해야 하는지 의문도 생기고

아이들이 쉴 수 없이 뭐 배우러 다닌 것을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이제 곧.. 내 아이에게도 그런 시기가 다가올 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항상 불안하고 두렵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내 아이 중심의 교육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것 같다.

적절한 공교육과 사교육의 조합은 치우침이 없는 하나의 결과일 수 있다.

목적에 맞는 사교육은 사교육비를 절약할 수 있고 그것이 곧 재테크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