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창경궁에 동물원이 생겼을까? - 순종 황제 vs 이토 히로부미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1
허균 지음, 고영미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애시절에 창경궁에 간 적이 있었는데 동물원을 본 적이 없는데 동물원이라니 의아했다.

창경궁에 얽힌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 궁금증을 가지고 책을 보았다.

 

 

일제의 만행에 잠 못 이루는 고종황제의 둘째 아들인 순종과

중립화 선언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을사조약을 체결하고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폐위시킨 이토 히로부미의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에서 서로 논쟁을 펼치며 법정공방이 시작된다.

 

 

서울에는  경북궁, 덕수궁, 창덕궁, 창경궁 등의 조선시대의 궁궐이 있다.

이 궁궐 중 임진왜란과 일제시대에 불에 타거나 헐리기도 했지만  창경궁만은 원래의 이름을 잃고 창경원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당시 조선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의 허락을 받아 동물원, 식물원, 박물관을 지어 놀이공원식으로 만들어놓고

모두 조선의 백성들과 순종을 위한 일이었다고 주장한다.

과연... 이 모든 것이 조선을 위한 일이였을까?

조선을 식민지 하기 위해 끊임없이 만행을 저지른 일본이 조선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니...

 

 

성종 때 건립된 창경궁이 왜 창경원으로 바꾸게 되었는지 흐름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왕권의 상징이고 한 나라의 주요 시설들이 있었던 궁을 없애고 놀이시설화 시켜버린 일이 정당한 일인가?

종묘와 창경궁을 원래의 모습으로 만든다고 하니 다행스럽기도 하고 어떤 모습이였을지 기대도 된다.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갖추게 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