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글쓰기 특강 - 생각 정리의 기술
김민영.황선애 지음 / 북바이북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어도 바뀌는 게 없고, 읽고 나서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책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책을 읽고 나서는 거의 대부분 감상문을 쓰지만, 길게 쓰더라도 기억이 나지 않는 건 마찬가지였다. 방법이 있어야 했고 눈에 띈 것은 이 책이었다. 독서토론으로 유명해 책도 낸 숭례문학당과 관련이 있고 서평 쓰기 강의까지 하는 글쓴이 두명이 낸 책, '서평 글쓰기 특강'. 특강이라는 어감이 되게 엄청난 걸 하는 듯 하다.


서평을 쓰면 책을 읽어도 남는 게 있다는 게 이 책의 가장 중심적인 내용이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간단하게 얘기해서, '서평을 쓰면 남는 게 있으니 서평을 씁시다'라는 게 이 책의 주제이며 나머지는 '서평을 쓰라고 했으니 어떻게 쓰면 될지 가르쳐 드리죠'라는 거다.

서평을 쓰기 위해서는 읽는 방법부터 바꿔야 한다는 다른 책의 발췌를 시작으로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그냥 읽고 끝이 아니라 읽으면서 밑줄이나 생각을 정리하고 다시 읽으면서 표시한 부분은 물론 안 표시한 부분은 왜 표시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생각을 정리해야 한단다. 그러면서 책을 읽고 나서 서평을 쓰기 위해 준비하고 쓰면서 책 내용을 깊게 받아들이고 생각하게 되어 서평 그리고 토론은 필수라고 이야기한다. 몇몇 서평을 예시로 들어 설명해주고 몇 가지 형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책을 읽어도 정리가 안 되는 사람은 어떨까요? 정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독후 활동을 하지 않습니다. 막막하다 생각하면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다른 글을 잘 보지 않습니다. '영향을 받는다'는 핑계부터 내세웁니다. 잘 정리된 글을 보고 연습해야 하는데, 남의 생각에 휘둘리기 싫다며 애쓰지 않습니다. 이런 분들에게는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처방이 필요합니다. - 31~32


아직 정리가 어렵다. 리뷰, 독후감, 비평을 나누는 글쓴이들의 이야기는 '그렇구나'라기보다 '그렇게까지 해?'라는 생각이 든다. 서평이 그렇게 좋은지,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아직은 모르겠다. 그러나 일단은 해볼만한 가치가 있어보인다.


책을 읽어도 어떻게 해야 정리해서 말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면, 읽고 나서 남는 게 없어 허무하다면 이 책이 한 가지 방법이 되어줄지도 모르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3-15 16:5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