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사들의 엄격함 - 보르헤스, 하이젠베르크, 칸트 그리고 실재의 궁극적 본질
윌리엄 에긴턴 지음, 김한영 옮김 / 까치 / 2025년 1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나는 르네 마그리트의 ‘인간의 조건’이라는 그림을 보고 있다. 창문이 있는 벽면에는
커튼이 드리워져 있고, 창밖으로는 구름 낀 하늘과 풍경이 보인다. 흥미로운
점은 창문 앞에 놓인 이젤 위의 그림이 창밖 풍경과 완벽히 일치한다는 것이다. 마그리트는 왜 이 그림에 ‘인간의 조건’이라는 제목을 붙였을까?
이는 인간이 세상을
인식하는 근본적인 한계와 조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과 같은 감각을 통해 세상을 받아들이고, 이를 해석하여 의미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마그리트는 이젤 위의 그림과
창밖 풍경을 완벽히 일치시킴으로써, 우리가 ‘현실’이라고 믿는 것이 사실은 감각과 해석을 통해 재구성된 이미지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칸트가 주장했듯이, 우리가 이해하는 것은 실재 그 자체가
아니라, 우리의 인식 형식을 통해 구축된 세계일 뿐이다. 더욱
의미심장한 것은 이젤 위의 그림이 실제 풍경의 일부를 가린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의 인식이 실재를 직접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가공하고 재구성할 수밖에 없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렇다면 우리는 감각을
거치지 않은 실재를 직접 바라볼 수 있을까?
이 오랜 철학적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탐구가 『천사들의
엄격함』에 담겨 있다. 윌리엄 에긴턴은 각기 다른 시대를 살았던 세 명의 사상가—칸트, 하이젠베르크, 보르헤스—의 삶과 사유를 통해 이 문제를 탐구한다. 사랑하는 친구의 죽음을
통해 존재의 유한성을 깨달은 칸트, 실연의 아픔 속에서도 문학적 상상력을 펼친 보르헤스, 아인슈타인과 끊임없이 논쟁하며 양자역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하이젠베르크. 이들은
철학, 문학, 물리학이라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실재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자신의 사유를 극한까지 밀어붙였다.
이젤의 역할은 칸트에게는
세계를 인식하기 위한 필수적인 틀(시간, 공간, 인과성)이었고, 하이젠베르크에게는
고전물리학이 전제한 결정론적 세계관의 한계였으며, 보르헤스에게는 경험을 선별하고 조합하여 의미를 창출하는
인간의 해석 작용이었다. 칸트는 우리가 인식 형식을 통해서만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음을 밝혔고, 하이젠베르크는 양자역학을 통해 결정론적 세계관이 붕괴됨을 보여주었으며, 보르헤스는
‘기억력의 천재 푸네스’에서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단순한 감각의 축적이 아니라 그것을 의미 있게 연결하고 해석하는
과정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현상학과 생
철학에 더 매력을 느끼는 나로써는 실재의 궁극적 본질을 탐구한다는 것이 나의 삶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라는
의문을 떨칠 수 없었다.
나름의 사유를 정리해본다면
이는 단순한 추상적 사유가 아니라,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근본적인 틀을 확장시켜 준다고 생각한다.
마그리트의 그림에서
보듯 우리의 인식은 늘 불완전하고 주관적 해석에 머문다. 그러나 그림 속 그림의 바깥을 상상할 때 세계와
타인에 대해 좀더 열린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다. 우리가 세계를 바라보는 틀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인식은
우리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트리고, 다양성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국 실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의 각도를 조금씩 넓혀가는 여정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세계를
조금 더 깊이, 조금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