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실명은 원래 옮지 않는 것이지만 이 소설 속에서 실명은 온 도시의 사람들을 눈먼 자로 만든다.
어두운 암흑으로 빠져드는 눈멈이 아니라 하얀 눈멈. 아이러니의 극치.
도시전체가 눈이 멀기 시작하면서 상황은 최악과 최악을 거듭한다.
시작부터 급박하게 시작되어 그야말로 산넘어 산.
읽으면서 너무나 괴로웠지만 끝끝내 책을 놓을 수 없었다.
주제 사라마구가 이야기하는 실명은 그저 신체적인 면에서의 실명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의 마음에 대한 실명이다.
우리는 눈이 머는 순간 이미 눈이 멀어 있었소, 두려움 때문에 눈이 먼거지, 그리고 두려움 때문에 우리는 계속 눈이 멀어 있을 것이고.
우리는 너무나도 당연하게, 눈이라는 기관을 취사선택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 기관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그러나 그 당연한 것은 어찌보면 실명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싸움이란 건 언제나 실명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지.
직접적인 묘사가 대단하다고는 할 수 없고 상황 자체가 현실적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책을 읽다보면 왜 주제 사라마구가 '환상적 리얼리즘'의 대가라고 불리는지 느낄 수가 있다.
직접 보았으나 단어로만 내게 다가오는 '실명'을 여러가지 상황으로 너무나도 실감나게 독자에게 설명하는 그 과정 때문이다.
계단이 어두컴컴했으나, 그것은 전혀 걱정하지 않았다.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자는 초조해서 서두르는 바람에 두 번이나 비틀거렸다. 그러나 웃음으로 털어버렸다. 참 나, 눈을 감고도 오르내릴 수 있던 계단인데. 상투적 표현이란 그런 것이다.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무시해 버린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는 눈을 감는 것과 눈이 머는 것 사이의 차이를 구별하지 않았다.
또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던 것이 얼마나 당연하지 않은가를 서서히 제시한다.
우리가 전에 지니고 살았던 감정, 과거에 우리가 사는 모습을 규정하던 감정은 우리가 눈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에 가능했던 거야, 눈이 없으면 감정도 다른 것이 되어버려,
그런데 이 고약한 작가는 독자를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상태로 몰아넣고서 '사랑'을 꺼내어든다.
고약한 낙천주의자 같으니라고.
내가 과거의 그 여자라면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 거예요, 그건 나도 그렇게 생각해요, 하지만 조금 전의 그 말을 한 사람은 오늘의 이 여자예요. 그럼 내일의 여자는 또 어떤 말을 할까. 나를 시험하는 건가요. 무슨 터무니없는 소리, 내가 뭔데 아가씨를 시험하겠소, 그런 일들을 결정하는 것은 삶이오. 그럼 삶은 이미 한 가지 결정을 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이야기를 영화화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금새 이 눈먼 자들의 지옥을 어떻게 '시각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좌절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눈뜬 자에 대한 고통을 조금이나마 상상할 수 있었고 동시에 주제 사라마구의 경고를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움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보기 싫다고 눈을 감고 살 수는 없다. 눈 감은 척하면서 살 수도 없다. 그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