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시대의 일상사 - 순응, 저항, 인종주의, 개마고원신서 33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지음, 김학이 옮김 / 개마고원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스터디의 일환으로 읽기로 했던 책이었는데 빠르게 읽히지는 않아서 이제야 다 읽은 책.

그러나 더딘 독해 속도와는 별도로 이 책은 개인적으로 일독을 권할만한 책이다.

물론 제목만 보고 독일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식의 서술을 기대해선 안된다.

 

저자는 나치 시대에 살았던 '작은 사람들'의 삶에 주목한다. 밑에서부터의 역사 연구라고 할 수 있을까.

이런 접근으로 그는 우리가 거시적으로 볼 때 명확해보이는 많은 부분이 사실은 너무나도 복잡한 양상을 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상사에 접근할수록 연구자의 이론적 방법론적 확실성이 흔들릴 뿐만 아니라, 개별자의 경험과 행위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 속에서 도덕적 가치 기준마저도 흔들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 책이 발간될 당시(1982년) 꽤나 논란을 빚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근대화'의 개념을 제시한다.

왜 한국의 경우도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의 '근대화'.

 

"근대화"는 낡은 권력 관계를 유지한 채 사회가 재조직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근대화는 사회주의적인 의미에서 가장 "반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자는 '나치혁명'은 오버센스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근대의 발전사가 자유를 향한 일방통행이 아니라는 점'을 역설한다.

결국 나치의 등장은 서구 근대의 중간에 뜬금 없이 등장한 '괴물'이 아니라 서구가(혹은 우리가) 맹신하고 있었던

근대가 발전(?)할 수 있는 병리학적인 현상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청소년의 동원과 거부'라는 부분인데

저자는 이 부분에서 작은 사람들이 소요할 수 있었던 미시적인 전략 공간을 흥미롭게 제시한다.

 

학교와 청소년단이라는 두 권위 조직의 관계는 결코 근원적으로 정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양자 사이의 경쟁은 갈등의 공간을 낳았고, 청소년들은 이를 이용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은 학교를 핑게로 히틀러 청소년단 모임에 빠지기도 하고, 거꾸로 나치당과 청소년단이라는 "보다 높은" 대의를 들이대며 교사들을 괴롭히기도 했던 것이다.

 

또한 사료를 읽는 방법 혹은 관점에서도 저자의 언급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치의 공식적인 보고서들은 스윙 청소년들의 혼숙, 그룹 섹스, 미성년 섹스, 특히 나치가 황폐화로 간주하던 성애 그 자체에 기쁨을 느끼고 이를 자유롭게 추구하는 현상을 강조했다. 그러나 나치 보고서가 선택한 단어와 강조점을 보면, 보고서는 통상 청소년들의 행태보다 오히려 보고서를 쓰고 읽는 자들의 관점을 드러낸다. 작성자는 자신의 불안과 억눌린 소망을 청소년들에게 투사하는 방식으로 현실을 채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허풍에 불과할지도 모르는 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였고, 어쩌다 발생한 개별적인 "사건"을 일반화했다.

 

그와는 별개로,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약 21만 9천명의 집시가 살해되었고 그들의 '재생산'을 막기 위하여

강제 불임시술을 받은 사람은 1945년까지 20만 내지 35만 명에 달한다는 부분에서

그리고 그것을 지지하는 논리을 읽으면서 나는 자꾸 그 좋다는 (신)자유주의를 겹쳐보게 된다.

 

나치들은 사회적 현상을 병리적 관점으로, 즉 전염병처럼 바라보면서 확산을 두려워하며 근절을 외쳤고

결국은 사회적인 일탈을 인종주의의 시각(선천적인 유전획득)에서 파악하는데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그 삐뚤어진 관점은 과학이라는 화려한 탈을 쓰고 유래 없는 대규모 학살을 낳았던 것이다.

여기서 왜 나치를 그 아름다운 자유주의와 겹쳐서 바라보느냐하는 질문을 할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다음의 두 질문을 비교해보라.

 

"환경은 완벽한데 대체 왜 저런 족속들이 나타나는 것인가? 역시 저 놈들은 태생적으로 뭔가 잘못되어 있다."

"자유가 만연한 평등 사회에서 대체 왜 저렇게 낙오하는 것인가? 저들은 미숙아이거나 게으름이 병처럼 몸에 박혀있을 뿐이다."

 

결론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들은 도태되어도 별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경제적 관점이든 도덕적 관점이든, 그것은 모두 개인이 초래한 것이며 잘못은 그들의 유전자에 있는 것이니까.

그런데 왜 저들은 이 사회의 조건이 무균질한 상태라고 주장하는 것일까? 아무런 근거도 없이.

'자유주의'가 현상을 왜곡하여 제시하고 결론을 이끌어 낼 '자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어쨌거나 무척이나 많은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큰 책. 그리고 분명 한 번쯤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