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Q정전.광인일기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15
루쉰 지음, 정석원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루쉰 선생의 단편소설집. 총 11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편집상의 몇몇 오류가 눈에 띄긴하지만 번역은 괜찮은 것 같다.
예전에 처음 읽었을 때는 '아Q정전'이 대표작이라 그것에 치중해서 봤었는데
이번엔 오히려 '광인일기'에 관심이 갔다.
당시 루쉰 선생이 그런 의도가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 소설은 현재 다른 맥락에서 읽을 수도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광인일기'는 말 그대로 미친 자의 일기다. 주변 사람들이 다 자신을 잡아먹으려 한다는 생각을 하는.
그저 미친자의 일기로 볼 수도 있고, 당시 봉건도덕을 비판한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이 아름다운 무한경쟁 시대에 살고 있는 나로서는 이 글이 다른 맥락으로 읽혔다.
......무려 4천 년 동안이나 늘 사람을 잡아먹던 곳, 나 역시 그곳에서 오랜 세월 동안 함께해왔다는 사실을 오늘에서야 알게 되었다.......
4천 년 간이나 사람을 잡아먹은 경력을 가진 나다. 처음에는 몰랐지만 이제는 확실히 알게 되었다. 진정한 사람을 만나기가 이다지도 어려운가!
아직도 사람 고기를 못 먹어본 어린이가 있을까?
아이들을 구하라......
'미친 자'의 일기가 이리도 섬뜩하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은 얼마나 덜 섬뜩한가.
그래도 역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은 '고향'.
드디어 사람에게서 20년만의 고향을 찾은 것 같았던 주인공에게
'주인님....'이라는 한 마디. 현실의 벽이 차갑게 부딪혀 오지만 30년 전 자신의 모습을 보는 듯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주인공은 생각한다.
나는 희망을 생각하게 되자 갑자기 무서워졌다. 룬투가 향로와 촛대를 요구할 때 나는 속으로 그를 비웃었다. 나는 그가 아직도 우상을 숭배하고 있으며 한시도 잊지 않고 있구나 하고 여겼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 내가 말하는 희망이라는 것 역시 나 스스로가 만들어낸 우상이 아닐까? 다른 점이라면 그의 희망은 절박한 것인데 비해 나의 희망은 막연하고 아득한 것이라는 점뿐이다.
몽롱한 가운데 눈 앞에는 해변가의 푸르른 모래밭이 떠올랐다. 짙은 남색 하늘에 바퀴처럼 둥근 황금의 보름달이 떠 있다. 나는 생각해보았다. 희망은 본디 있다고 할 것도 아니고 또 없다고 할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다. 원래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것이 많은 사람들이 다니면서 저절로 생겨난 것처럼.
번역자에 따라 약간씩은 다르지만, 어쨌든 이 구절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구절이기도 하다.
어두움 속에서 담담하게 희망의 부재를 이야기하는 저 구절.
그러나 '희망은 반드시 있다'라는 말보다도 저 구절이 더 와닿고, 또 내게 힘을 준다.
희망의 원동력은 '부재'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