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왕자의 귀환 - 신자유주의의 우주에서 살아남는 법
김태권 지음, 우석훈 / 돌베개 / 2009년 7월
평점 :
'십자군 이야기'를 그렸던 김태권의 신간.
사실 2권에서 멈춘지 너무 오래되어버린 터라, 좀 뜬금 없게 느껴진 책이기도 했지만 어쨌든 구입해서 읽었다.
10년 정도 여기저기 연재했던 것들을 모아서 낸 책인데, 본인이 이야기하고 있듯이 그래서 그림이 들쭉날쭉하다.
어차피 기본 내용과 콘티 정도는 거진 다 짜여져 있는 상태이니 그림을 다시 그렸어야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매우 아쉽다.
어쨌거나 책의 내용은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그 비판을 김태권 특유의 비꼼과 패러디로 풀어내고 있는데, 역시나 정신 없기는 하지만 재치가 넘치는 부분도 적지 않다.
음, 길든다는 건 말이지. 이를테면 - 월급이 오후 네 시에 나온다면 나는 오후 세 시부터 설레기 시작할 거야.
그리고 여기! 봉투가 보이지? 난 편지를 쓰지 않으니, 봉투는 내게 소용없는 거야.
그런데 이제 봉투는 월급을 생각나게 하겠지! 그럼 난 봉투를 사랑하게 될 거야.
이 부분은 읽다가 진짜 뿜었다.
어쨌거나 만화라는 장르상의 특성(혹은 선입견)에다가 김태권 특유의 산만함 때문에 책이 너무 가벼워질 수도 있었는데
우석훈이 각 챕터마다 간단하고 쉬운 해제를 달아놓아 책의 가벼움에 작은 추를 마련하였다.
그런데 신자유주의가 극한까지 가면 시장 이데올로기가 말하듯이 모두가 자신에게만 관심을 가지고 개별화된 개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가 혹은 민족의 이데올로기가 더욱 강조된다. ……
이런 상태에서 경제적 실체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의 경제적 위치는 계속해서 인종적 위치 혹은 국가적 소속감 같은 이데올로기적 실체로 치환되는 경향이 있다.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 정당을 위해서 투표하는 등 경제적 합리성의 눈으로 볼 때 납득하기 어려운 행위들이, 국가주의나 지역주의와 함께 재생산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렇게 강화된 국가 이데올로기는 개인들에게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이해시키기보다는, 인종, 국민, 혹은 지역과 같은 상징에 더욱 소속감을 느끼게 만든다. 그래서 세계화된 경제에서 사람들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의식을 키우기보다는, 더 인종주의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의식에 사로잡힌다. ……
한국에서도 신자유주의가 강화되면서 '국론 분열'이라는 말이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한 국가 내에 다양한 의견이 생겨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또한 개개인이 처한 경제적 삶과 경제적 운명이 다르기 때문에 국론이 통일되는 일은 처음부터 있을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의 과정을 통해서 서로 다른 의견들을 조율해나가고, 경제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통해 사회 전체적인 행복 및 후생 수준을 높여나가는 일이다. 그러나 강요된 국론 통일은 비정규직이나 여성과 같은 경제적 약자의 의견을 무시하게 되고, 이미 파편화해 분할통치하에 있는 사람들을 국가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폭압적으로 이끌어 나간다.
절대적으로 공감이 가는 말이다. '분할통치'의 구체적 사례들이 궁금하다면 이 책의 단 몇 페이지가 도움이 될 것이다.
국론이며 국익이며 그런 것이 나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것부터 찬찬히 따져봐야 한다.
이타적인 삶을 살자는 것도 아니다. 다만 이기적이려면 제대로 이기적이자는 이야기. 너무 냉소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