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전 - 한국현대사를 온몸으로 헤쳐온 여덟 인생
김서령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앞서간 사람의 발자국이 우리들의 가장 훌륭한 교과서가 된다.'
저자의 말처럼 이 책에 등장하는 아홉 여성의 삶은 나를 그리고 나를 둘러싼 역사를 돌아보게끔 한다.
빨치산 할머니와 위안부 할버니, 팔로군 출신 할머니를 지나 춤꾼 이선옥 할머니와 명성황후의 한을 풀려 혼신을 다한 이영숙 할머니의 삶을 읽으면서 가장 처음 들었던 생각은 이들이 전부 '한국현대사를 온몸으로 헤쳐온 여덟인생'(이 책의 부제)이라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었다. 빨치산과 위안부, 팔로군의 삶보다 춤꾼, 고아원 선생들은 훨씬 '개인적'으로 느껴졌으니까.
그러나 나는 다시금 반성하며 생각했다. 역사와 동떨어진 개인적 삶이 어디 존재하는가. 춤꾼이라 해서, 종가집 며느리라 해서 어찌 현대사를 온몸으로 헤쳐오지 않았겠는가. 나는 아직도 내가 늘 비판하던 주류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그들의 삶을 하나하나 진심으로 만져 살펴보고 또 그들의 삶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그리고 그 '개인적'인 삶에서 역사적 맥락을 읽어내는 것. 그것이 내가 보고 싶던 역사가 아니던가.
이 책이 더욱 의미를 가지는 것은 (당연히) 여자의 삶, 우리 할머니들의 삶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저자의 서문에서처럼 '같은 시대 같은 나라 같은 성별로 태어났다는 것이야 말로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니 정작 나야말로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가 어떤 삶을 살아오셨는지 거의 알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 어머니의 삶도 당신들께서 가끔 이야기해주시는 것 말고는 알지 못한다.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 그것은 어쩌면 사료보다 사람에게 말을 거는 것이 더 급선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인간을 이해하는 첩경이 아닐까하는 생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