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금의 정치 ㅣ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05
최정기 지음 / 책세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세상문고의 우리시대 시리즈.
부담 없는 가격과 분량, 그리고 다양한 소재 덕에 나도 꽤나 구입을 했었다.
이 책은 지난 방학(벌써 '지난'이라니.. ㅜ.ㅜ) 푸코 세미나를 하면서 참고로 샀던 책.
석사논문과 박사논문을 일제시대 나환자 통제라든가 감옥체제와 사상범 수형생활 연구로 썼던
저자인만큼 이 책에서도 그와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크게는 3부분. 나환자 수용소, 교도소, 정신보건 시설.
이 세 장소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에서 '감금의 정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본다.
물론 이런 내용을 다루면서 푸코의 그림자를 벗어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중간중간 서술 과정이나 결론 부분(특히나 교도소와 같은 시설의 실패 아닌 실패 같은 부분)에서
푸코의 그림자가 강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은 '한국에서의' 감금을 다루고 있으므로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가온다.
이런 부분을 생각할 때 머리가 많이 복잡해진다.
한창 푸코세미나가 진행될 무렵 이런 생각까지 들었었다.
20년형, 무기징역, 사형. 그 기준은 대체 누가 정한 것들일까.. 라는.
그것들은 법에 기초하여 공동체 구성원인 '우리'가 모두 인정하는 것이라고는 하지만
과연 내가 언제 그런 것들을 인정했던가.
그리고 인간의 신체를 속박하는 기간을 범죄의 경중으로 치환하는 것이 '이성적' 기준인가?...라는.
분명 범죄를 저질러 무고한 사람들이 다치고 목숨을 잃고 평생 상처를 입고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현실이 있기에 내 머리는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단순 명확한 것만큼 위험한 것도 없다.
원래 인간의 삶, 사회라는 것이 복잡한데 어찌 머리 아프지 않기를 바라랴.
이 책에서 논하고 있는 것들은 앞으로도 꾸준히 계속 머리를 앓아야 할 문제들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