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이경구 지음 / 푸른역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세기 조선은 대외적으로 볼 때 '새로운 시기'를 맞이한 때였다.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학문이 실천으로 그 범주를 넓히던 시기였다.

이런 현상은 그저 '발전'이라고 치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처절함 속에서 구현된 하나의 '의무'라고까지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들은 국가 존립의 근거, 사회 재건의 방향과 구체적 정책, 사대부 개개인의 삶의 의미 등을 '학자가 탐구해야할 문제를 넘어 실천으로 실현해야 할 과제'로 보았다.

 

이에 이 책의 저자는 17세기 11명의 지식인들에 주목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사실 사상적 지형도는 그리기가 매우 힘들다. 게다가 과거의 학문, 즉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사상적 지형도는 더욱 그러하다.

또 조선의 사상적 지형도는 정치적 지형도와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복잡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저자는 깔끔한 문체와 군더더기 없는 문제의식으로 독자를 이끌어 간다.

그의 말처럼 '비판적 안목을 기를 기회를 실종'시키지 않으면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김육의 생애였는데, '바라는 바는 민생이니 구름 잡는 글을 숭상하고 싶지 않다'는 그의 말이 가슴에 와닿는다.

 

(성현의 법은) 오로지 백성들에게 은택이 돌아가게 하는 것일 뿐이다. (세상의 학자들은) 모두 서책에 실린 것들을 주워 담아서는 '성의하고 정심하면 천하와 국가는 잘 다스려질 것이다'라고 입에 올리기만 한다. 그러면서 실무에 여념 없는 자들을 공리를 추구한다고 비웃는다. …… 이것이 어찌 마음을 합하여 나라를 위하는 도리인가. 나는 어리석고 생각이 얕아 학문이 어떠한 것인지를 잘 모른다. 다만 바라는 바는 마음을 바르게 가지고 일처리를 실질적으로 하는 것이니 절약하여 백성을 아끼고 부역과 세금을 줄이는 것이다. (나는) 공허하고 멀리 있는 것을 추구하여 구름과 같은 글은 숭상하고 싶지 않다.

 

이밖에도 유형원을 '다시' 조명해본 부분(물론 이 부분이 이미 선행되었던 부분이긴 하지만 잘 알려지진 못했다),

 

  유형원의 구상을 성리학의 대안으로 볼 수도 있고 그렇게 평가하는 학자도 많으나, 최근 그의 본의는 성리학을 보완하는 데 있다는 학설도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실제 그 방향으로 그의 구상은 수용되었다. 영, 정조대에 국가의 공공성 확대를 통해 조선왕조를 유지하자는 보수적 개혁에 활용되었던 것이다. 그 정점에는 성리학 체제의 완성이 있었다.

 

또 남구만을 다룬 부분에서 '법'에 대한 서술은 오늘날에도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유교에선 '형벌'에 '상서로운 형벌[祥刑]'(<書經>)이란 모순된 이름을 붙였다. 벌은 서민에겐 관대하고 부귀한 이에겐 엄격하며 사람을 낚는 그물이 아니라 피하기를 바라는 경고일 따름이니, 궁극적으로 모든 이가 저촉되지 않는 경지에 다다르면 상서롭다는 의미였다. 즉, 법은 교화의 보조 수단이자, 없어지기를 기약하는 '필요악'인 셈이다.

  이 점은 법 집행이 먼저고 교화가 뒤따르는 오늘날 우리가 숙고해 봐야 할 문제다. '법대로'는 법의 출발점이자 목표인 인간을 때로 망각하기 때문이다. 조문을 적용할 줄만 알았지 전인적 가치와 사회의 공동선에 둔감한 법 관계자들 때문에 우리는 많은 가치 전복을 경험하고 있지 않은가.

 

법이 '지켜야할 그 무엇'이 아니라 '나를 지켜주어야할 그 무엇'이 되어버린 현실이 참으로 뼈아프다.

 

각 꼭지마다 뒤에 '키워드'로 묶어 중요한 개념들을 친절히 설명해주고 있고, 쓸 데 없는 각주를 생략해버린 편집도 맘에 든다.

꽤 많이 삽입된 도판이 읽는 내내 재미를 돋구워주고, 꼭지마다 정리해주는 도표 또한 이해를 도와준다.

짧은 '나오는 글' 하나가 좀 아쉽기는 하지만, 전통시대에 대한 막연한 관심을 더 풍성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적어도 머리말에 제기한 저자의 문제의식은 충분히 소화된 것 같다. 문장 또한 복잡하거나 길지 않아 이해하기도 쉽고 읽는 맛이 난다.

간만에 정갈하고 맛있는 한식을 먹은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