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
리처드 J. 번스타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18년 10월
평점 :
제목 그대로, 왜 현대에 아렌트를 읽어야하는지 그 의의를 다루며 그의 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정말 잘 읽히고, 아주 괜찮았던 책.
사회학과의 전필 이론수업인 사회학사 강의에서는 오귀스트 콩트에서부터 시작해 주요한 사회학자들을 다루는데, 그들의 주요한 아이디어와 생각들 뿐만 아니라 생애에도 많은 시간을 들여 설명을 한다. 그렇게 하면 그 사상을 왜, 어떤 맥락에서 이야기했는지를 훨씬 더 심도깊게 이해할 수 있어서이다. 이 책도 비슷하게 아렌트의 삶에서부터 시작한다. 그 자신이 무국적 독일계 유대인이 되어 이리저리 몸을 피하고, 우연의 연속으로 간신히 살아남았다는 배경을 알게 되자 그의 저작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기원했는지를 좀 더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이 책의 또다른 특징이자 훌륭한 점은 아렌트의 삶과 생각을 종합적으로 다루면서, 한계와 의의를 명확히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이었다. 아렌트는 흑인문제, 그리고 여성문제에 대해 전혀 공감하지 못했고, 저자는 다른 문제에서는 차별과 억압을 당하는 이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그가 어떻게 이러한 이슈에 대해서는 둔감했는지 정확하게 짚어낸다. 그렇지만 아렌트를 읽어야하는 이유도 명확한데, 이를 풀어내는 저자의 통찰력이 꽤 좋다. 아렌트의 논의는 공동체를 잃어버린 난민들이 주 이슈가 된 현 세계에 던지는 의의가 분명 존재하며, 무사유가 곧 악이라는 핵심 아이디어는 어떻게 현대사회에서 이를 극복해야 하고 토론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하게 만든다.
전반적으로 저자가 아렌트의 핵심 개념들을 이해하기 쉽게 잘 소개하면서도 그에 대한 비판과 중요한 지점, 생각해볼만한 거리들을 풀어놓은 잘 쓴 책이었다. 아렌트가 궁금한 사람들이 제대로 읽기 전에 이 책을 일독할 것을 강력하게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