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산의 연인
우봉규 지음, 양세은 그림 / 동산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지난해 말 정부는 일본군 성노예 관련하여 협상을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역대 대통령도 못했는데 대통령이 친히 일본의 사과를 받아냈다는 셀프 칭찬과 더불어 성공적인 협상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중에 자세히 알아보니 실제 피해자이자 생존자들에게는 아무런 의논도 없이, 급히 일본 측과 협상을 했고, 당사자에게는 그 결과만 통보했던 것이다. 보상금인지 합의금인지 정체모를 돈을 주겠다는 약속만 밥았을 뿐, 정착 우리에게 필요한 진정성 있는 사과와 책임자에 대한 처벌은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다.

 

더욱 황당한 것은 가해자인 일본측의 뻔뻔스러운 태도이다. 이제 생존자가 몇 명 안남은 상황에서 오히려 일본정부는 적반하장격으로 일본정부가 관여한 일이 아니라고 발뺌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성하는 태도는커녕 책임회피에 급급했고, 우리 외교부는 일본의 대변인 역할만 했을뿐 자국민을 위한 어떤 행동도 하지 못했던 것이다. 결국 정부와 외교당국은 국내외로 망신 당하는 씁쓸한 모습을 연출했고 국민적 공분만 일깨우는 계기를 만들고 말았다.

그 때문인지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에는 소녀상의 강제 이전을 염려하는 학생들이 추위에도 불구하고 소녀상 곁을 지키고 있다. 아울러 최근 영화 ‘귀향’에서도 당시 비극적 현실을 보여주고 있어, 아직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아픈 역사를 되새기고 있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소설 <백산의 연인>이 나왔다. 이 책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 노릇을 강요받았던 이 땅의 젊은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는 당시 기록과 증언을 종합하여, 이 작품을 구성했으며, 세부 묘사로 우리 여성들이 겪은 고통을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젊은 스님 회산의 손에 자란 강옥아는 자신을 대신해 일본에 징용을 가게 된 김처사의 사정을 알게 되고 마음아파 한다. 결국 회산 몰래 자원하여 일본에 징용을 가게 된다. 회산과 함께 강옥아를 마음에 품고 있던 이구역시 그녀를 구하기 수소문한다. 그녀는 일본으로 넘어가 공장 여공으로 일을 시작하여, 관동군 소속 위안부로 끌려갔다. 그녀는 자신을 범하려는 일본인 장교의 ‘어떻게 여기 왔나?’는 물음에 “조선 사내들이 못나서.”라고 대꾸한다. 원래 우리나라는 일본에 비해 문화나 군사적으로 훨씬 강대국이 아니었던가? 그러나 조선 말기 일제에 나라를 팔아먹은 노론 지배층이 못나서, 나라는 일본의 침략에 국토가 짓밟힌 것에 대한 그녀의 말 한마디가 가슴을 아리게 한다.

 

작가는 당시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까지 피폐해져야 했던 위안부들의 모습과 당시 참혹했던 상황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또한 무기력하기만 했던 조선사내들과 목숨걸고 여성들을 지키려는 모습도 대비하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소설 <백산의 연인>은 지독했던 절망적인 현실을 이겨내야 했던 우리들의 이야기 뿐만아니라, 비록 아프지만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가 아직도 진행중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