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독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 - 충동에 사로잡힌 이들을 위한 처방전
저드슨 브루어 지음, 최호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9월
평점 :

이 책은 뇌과학과 임상 경험을 토대로, 우리가 왜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벗어나지 못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섬세하게 풀어냈다. 중독은 우리가 흔히 아는 담배나 술, 마약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SNS, 자아, 재미, 생각, 심지어 사랑도 포함된다. 중독은 특별한 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인간 모두의 문제라는 뜻이다.
저자 밝히는 중독 메커니즘의 핵심은 ‘보상 기반 학습’이다. 뇌는 즐겁거나 안도되는 경험을 보상으로 기억하고, 다시 비슷한 상황이 오면 그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반복된 행동은 어느새 우리의 의식을 넘어, 무의식 속에서 굳건히 자리 잡는다.
저자는 중독에서 벗어나는 길은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나침반은 ‘지금 이 순간을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태도’ 즉, 마음 챙김(mindfulness)이다.
충동을 억누르는 대신,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보는 순간 뇌는 새로운 학습을 시작하고, 조금씩 다른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마치 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듯, 마음 챙김은 지금 내가 서 있는 자리와 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는 것이다.
나침반이 길을 대신 걸어주지 않듯, 마음 챙김도 당장의 해답을 주지는 않지만 방향만큼은 분명히 제시한다. 중독에서 벗어나는 길은 결국 자기 자신을 향한 호기심과 성찰 속에서 열린다. 그리고 그 과정이야말로 진짜 자유로 가는 여정이라는 사실을, 나침반 비유가 가르쳐 주었다.
우리는 스트레스를 피하려고 습관적인 행동에 몸을 맡긴다. 그러나 돌아오는 것은 위안이 아니라 더 큰 공허함이다. 나 역시 불안할 때 무심코 휴대폰을 켜고, 끝내 시간을 흘려보낸 뒤 죄책감에 사로잡힌 경험이 많다. 이 책은 그러한 행동도 중독적 패턴의 일부임을 깨닫게 했다.
“나는 왜 지금 이런 충동을 느낄까? 내 몸은 어떻게 반응할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내 욕구와 습관을 관찰하면, 중독의 노예가 아니라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중독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었고, 삶 전반에서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을 깨닫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