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말하기 연습 - 초4부터 중3까지 건강한 사춘기를 위한 부모 수업 바른 교육 시리즈 38
김하영 지음 / 서사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 분위기에 대해 살짝 말하자면 내가 대장이다. ㅋㅋㅋ

신랑이 우리 집이 북한이냐고 말할 정도로 나는 독재적이다. 아이들에게도 규칙을 강조하고 "5! 4! 3! 2! 1 "로 긴 말을 대신한다.

남자아이 둘을 키우다 보니 다가올 사춘기가 걱정이 안된다면 거짓말.

그래서 나의 권위와 위엄이 힘으로 밀리면 안 되니 킥복싱을 배워둬야 할까 심각하게 고민하고 학원도 알아봤었다.

그러던 중 작년에 5학년이 된 장남의 말투가 바뀌기 시작했다. 그저 온순하기만 한 아이였는데 말투가 도전적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면

"이거 했어?"라고 물으면 "그럼 안 했겠어?"라고 하고

"그게 맞지??"라고 물으면 "그럼 이거겠어?"라고 하는 식이다.

그냥 예, 아니오로 대답하면 되는 질문에 꼭 저렇게 대답을 하는 게 처음엔 너무 이해가 되지 않았다. '드디어 시작인 건가..' 하는 마음이 들면서 빨리 킥복싱을 배우러 갔었어야 하는데 하며 후회했다.

어디에서 본 건지 기억나진 않지만 사춘기 때 아이들 말투는 반항의 표시가 아닌 그냥 사춘기 말투이고 말투만 가지고 오해해 아이와 대립하지 말라는 그런 내용을 본 적이 있었다. 그게 생각나면서 마음속에 참을 인 백만 개를 새기며 거슬리는 그 말투를 잘 참아냈다.

이 책을 읽으며 돌아보니 잔소리 안 하길 잘했구나 싶었다.

지금은 더 이상 그 말투는 거슬리지 않고 아이도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린 아직까진 아주 많은 대화를 한다.

이 책의 1장에서는 부모 말하기 연습을 통해 사춘기 자녀들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과 해주면 좋은 말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고마워" 이다.

아이들에게 고맙다는 말은 존재를 긍정하는 말이고 존재의 긍정은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기 효능감을 키운다고 한다.

그래서 바로 장남에게 써먹어, 아니 말해봤다. (솟아오르는 닭살들을 달래가며..)

"엄마 아들로 태어나줘서 고마워"라고 했다더니

"엄마 아들로 낳아줘서 고마워" 하더라.

(우리 아들 사회생활 잘하겠는데?? ㅋㅋ)

킥복싱을 배울 게 아니라 부모 말하기를 배우면 되는 거였다.

2장에서는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부모의 태도에 대해 알려주고 있고

3장에서는 부모의 마인드에 대해 알려준다.

좋은 부모는 없다.

좋은 사람만 있을 뿐이다.

P.238

그동안 좋은 부모가 어떤 것인지도 모른 채 애를 쓰면서 살아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저 내가 좋은 사람이 되면 되는 것을 몰랐다. 좋은 사람이란 좋은 생각으로 좋은 태도를 만들고 좋은 태도로 좋은 삶을 사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어느 날인가 장남에게 물은 적이 있다.

"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어?"

"좋은 사람."

'어떤 게 좋은 사람인데?'라고 묻고 싶은 걸 간신히 참고 빙그레 웃어 주었다.

나를 사랑하고 내 안을 사랑으로 가득 채운 좋은 사람이 되어서 그 사랑을 바탕으로 우리 아이들이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 사춘기를 앞둔 자녀가 있는 부모들에게 하나도 버릴 게 없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 우리 신랑에게도 읽어보라고 하고 싶다.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