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은 과학이다 - 원하는 순간, 초집중하는 기술
데이먼 자하리아데스 지음, 박혜원 옮김 / 포텐업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이름이 이상하게 낯이 있다 했는데 얼마 전에 읽은 [잃어버린 집중력 구하기]의 저자이다. 같은 저자의 책이 (내용은 다르지만) 다른 출판사에 동시에 나올 수도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잃어버린 집중력 구하기]는 주로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집중력을 높여주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 책은 몰입으로 들어가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이야기한다.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상황을 꿈꾸지 않을까?

해야 할 것이 있어 책상에 앉는다. 다른 것에 주의를 빼앗기지 않고 곧장 해야 할 일에 착수한다. 그 일을 끝내는 동안 흐트럼없이 집중에서 처리한다. 일을 마친 후 시계를 보니 시간이 한참이나 흘러있다. '와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일했네.' 하며 뿌듯해한다.

나 또한 항상 꿈꾼다. 하지만 현실은...

해야 할 일 보다 다른 것들을 하는데 더 시간을 쓰는 듯하다. ㅜㅜ

사람들은 몰입을 하고 싶어 하고 몰입만 하면 뭐든 다 해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럼 몰입이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

사전적인 의미로는 정신적으로 완전히 열중한 상태를 말한다.

그럼 왜 우리는 몰입을 추구하는 것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라고 말하지만

저자는 우리 삶이 더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에 몰입을 추구하는 것이라 말한다.

이 책은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만드는 몰입에 들어가는 법과 그 상태를 최대한 유리하게 이용하는 법을 알려 주고 있다.

🌳 본격적인 몰입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 특정한 목표

🌵 자신에 대한 확신

🌵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

가 있어야 된다고 말한다.

스스로 설정한 목표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생각, 나의 행동에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다면 훨씬 쉽게 몰입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 몰입을 하는데 목표와 자기 확신이 필요하다는 것은 정말 생각해 보지 못한 부분이었다. 목표 없이 되는 데로 일했던 것과 '이걸 내가 할 수 있을까?', '너무 하기 싫다' 하는 생각들이 몰입을 방해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 사전 조건을 갖추었다면 본격적인 몰입의 과정으로 들어간다.

1단계 워밍업 루틴 만들기

2단계 나의 에너지 피크 타임 확인하기

3단계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 제거하기

4단계 나의 목표를 단 한 문장으로 정하기

5단계 내재적 동기 부여하기

6단계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전념하기

7단계 약간 어렵지만 성취 가능한 일 선택하기

8단계 몸이 힘들다면 휴식이 먼저다

9단계 몰입 시간 기법 사용하기

10단계 피드백 루프 만들기

각 단계의 타이틀만 봐도 대충 어떤 내용일지 예상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각 단계를 연습할 수 있는 자세한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 몰입은 방법을 안다고만 해서 당장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서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가장 먼저 1단계 워밍업 루틴을 만들어 봐야겠다. 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뭘 너무 많이 한다.

글쓰기나 필사를 했을 때 차분해지면서 잡념들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워밍업 루틴으로 한 문단 정도 필사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어 줄 몰입에 들어가는 방법을 알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