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 밖의 모든 말들
김금희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4월
평점 :
우리의 오랜 떠돎은 결국 무용하지 않았다고, 우리가 이동하는 동안 일어났던 수많은 현기증과 감정들이야말로 생의 가장 본질적인 것에 가깝다고 믿으면서.
제발트의 소설을 읽어봐야겠다.
그는 나는 티롤로 돌아갑니다, 라고 쓴 쪽지만을 남겼다고 제발트는 적어둔다. 병원에 갇힌 채 맞아야 하는 죽음을거부하고 그가 찾아갔을 티롤, 고향, 그리고 집에 대해 생각하면 그후 아무도 그를 본 사람이 없었다는 언급조차 아무런 불행이 되지 않는다. 그 실종의 귀착지는 다른 어떤 비극적 결말이 아니고 오로지 귀향이었으리라 믿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집을 떠나온 자들은 모두 집으로 돌아갔으리라고. 물론 그렇게 해서 찾아간 집조차 이제 더이상 의미를 지니지 못하는 죽은 것들만이 수십 년 동안 방치해둔 물건들로만 가득한 제발트 생가의 다락방처럼 있더라도 우리는 가지에 달라붙는 작은 소금 알갱이처럼 견디며 어떤 아름다운전화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우리의 오랜 떠돎은 결국 무용하지 않았다고, 우리가 이동하는 동안 일어났던 수많은 현기증과 감정들이야말로 생의 가장 본질적인 것에 가깝다고 믿으면서. 소녀와의 슬픈 사랑을 끝낸 채 여행지를 떠나는 K 박사, 카프카는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소름 끼치는 두려움이 사랑의 두려움이지만" "그 두려움을 거두어주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사랑이라도 무조건 필요한 것"이라고 항변한다. 여기서 사랑이라는 단어는 생이라는 단어로도 훌륭히 대체되어 읽힌다. 이렇듯 생의 불가해를 그 불가해함에 대한 사랑으로 읽어내는 것, 나는 그것 이외에 제발트를 읽는 것에 대한 환희를 더이상 지시할 수가 없다.
ㅡ제발트의 ‘현기증.감정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