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이 시작하고 밤에 잠을 잘 수 없었다. 불안했고 잠자리가 불편했다. 선잠을 자거나 악몽을 꾸었다. 물론 탄핵 때문만은 아니다. 원래도 그랬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를 틀었다. 이병헌과 김윤석이 주연인 〈남한산성〉을 봤다. 두 번째 본 영화지만 현 정국과 겹쳐 보였다. 우리에게 길은 어디에 있는걸까.
그래서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도 오랜만에 읽었다. 이 책도 두 번째 읽는다. 불쾌한 묘사는 여전했지만 김훈스러웠다. 남한산성에 갇혔는데 살기 위해 나아가는 길을 묻는 두 신하가 등장한다. 치욕을 당해도 삶이 죽음보다 낫다는 최명길과 아름다운 자리에서 삶을 도모해야지 아름다움이 없는 곳은 죽음이라는 김상헌이 등장한다. 나는 김훈이 최명길 입장에 서있다는 것을 안다. 김훈은 전두환을 '찬양'하는 기사를 스스로 쓰고자 했다. 밥 벌이는 숭고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말과 말이 겹치는 대신들의 말잔치를 김훈은 혐오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대통령의 계엄령 보도 영상을 조작이라고 생각했다. 계엄령이 그에게 삶의 길이었나? 결과적으로 죽음으로 내모는 길이 되었다. 계엄령에 분노하는 시민들은 온당하고 나도 그 대열에 있었고 여전히 있다. 응원봉은 없지만. 하지만 나는 소위 민주 진영이라는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집회에 젊은 여성들이 많아 나오니까 젊은 남성들 보고 나가보라던 진보 지식인, 정파적으로 편협한 견해만 쓰던 역사학자, 시인이 각종 영상에 나와서 민주주의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야기로 떠도는 민주주의와 그들의 진지함에 남한산성 안 작은 묘당에서 대의를 말하던 신료들이 겹쳐 보였다. 말들은 모두 그럴싸했지만 말로 길을 열수는 없기 때문이다.
나는 여전히 추운 거리에 있을테지만 여당의 길과 야당의 길, 대통령의 길과 민주 인사들의 길은 같으면서도 같지 않아 보였다. 야당 대표가 대통령 불출마 선언하면 탄핵에 성공한다는 여당 의원의 인터뷰가 있었다. 계엄령에 대한 탄핵에 뜬금없이 야당 대표를 끌어들이는 행태가 이미 탄핵 반대 표결 불참이 현직 대통령에게 책임을 묻는 일과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주로 군/정보 계통 출신 여당 인사들은 매일 중요하고 충격적인 첩보를 제공하며 12월 3일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조직적인 내란에 맞설 강한 야당, 기득권 야당의 효능감을 느꼈다. 반면 결국 그들이 정치 권력을 차지할 것이라는 점도 알았다. 나는 87년 민주화 이후 엘리트 정치인들이 혁명의 단물을 빨아먹는 일을 다시 겪는 듯 했다. 물론 설레발은 맞다. 아직 탄핵 표결도 가결이 나지 않았으니.
《남한산성》과 탄핵 정국이 무슨 관련이 있겠나 싶겠지만 나는 자신을 죽음으로 모는 길을 자신을 살리는 길이라 생각한 사람과 정치 권력을 획득하는 길을 창출해 내는 정치인들을 보며 삶의 길과 죽음의 길이 겹치는 묘한 이야기가 떠올랐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소추가 가결되고 직무가 정지되었을 때 노무현 전 대통령은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었다고 했다. 내우외환인 전란 상황에서 삶을 건져내는 리더인 이순신을 묘사한 책이다. 나는 여전히 겹쳐있는 길을 떠올렸다. 스스로 물러나지 않겠다는 대통령, 또 다시 시작되는 탄핵 정국,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여당 중진 의원 등등 소설보다 더 소설같은 일들이 벌어지는 요즘 나는 나아갈 길을 찾지 못했다. 잘못을 했으면 책임을 진다는 기본적인 사회적 합의조차 경합이나 논의 대상 혹은 정쟁이 되는 대한민국에서 떨어졌다는 비트코인 가격과 코스피 지수는 우리에게 길을 알려줄까? 탄핵이 된다면 시민들은 기뻐해야 할까? 나는 나의 일만 하면 될까? 나는 새롭게 다가오는 하루를 살고 있지만 어떤 길로 나아가고 나아가지 말아야 하는지 여전히 모르겠고 두렵다.